책소개
중국의 화약고, 신장을 이해하는 첫걸음
2009년 197명이 숨지고 1700여 명의 부상자를 낸 우루무치 유혈 사태로 신장 위구르 자치구는 세계의 관심을 받는 지역이 되었다. 중국의 통치를 받고 있는 이 지역에서 중국에 대항해 분리 독립을 요구하는 시위와 폭력 사태가 꾸준히 발생하자 외신들은 신장에 ‘중국의 화약고’라는 별명을 붙였다. 도대체 왜 신장의 위구르인들은 중국 정부에 저항하고 있을까? 신장 위구르인들의 분노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다. 먼저 소수 민족을 차별해온 중국 정부에 대한 오랜 불만이 첫 번째 원인이라면, 경제 성장의 과실이 한족에게만 돌아가는 현실에 대한 상실감도 크게 작용할 것이다. 그리고 중국 정부의 민족 동화 정책으로 인해 위구르족의 전통 문화가 말살될지도 모른다는 위기감도 원인 중 하나이다.
신장 지역의 역사에서도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먼저 ‘신장’이라는 단어가 갖는 역사적 의미를 한 번 살펴보자.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신장’은 18세기 중반 청의 건륭제가 이 지역을 정복하면서 ‘새로운 강역’이라는 뜻으로 처음 사용한 단어이다. 중세의 이슬람 작가들은 이 지역을 ‘투르크어를 사용하는 민족들의 땅’이라는 의미에서 투르키스탄(Turkestan)이라고 불렀다. ‘투르키스탄’이 ‘신장’으로 바뀌면서 이 지역은 공식적으로 중국 역사에 편입되었다. 중국의 영토가 된 이후에도 위구르족과 한족의 민족 갈등과 종교 갈등이 계속되고 있다. 이처럼 신장의 현재 모습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민족, 경제, 종교 등 역사적으로 복잡하게 얽혀 있는 실타래를 하나하나 풀어나가야 한다. 고대에서 현대까지, 신장의 역사를 다루는 이 책은 뒤엉킨 조각을 맞추는 첫걸음이 될 것이다.
목차
추천의 글-김호동(서울대 동양사학과 교수)
한국어판 서문
서문
1장 고대의 마주침들(고대~8세기)
지리적 환경
선사 시대의 신장
고전 시대
제한적인 자치와 지속되는 관계:3~6세기
당, 돌궐 그리고 티베트
2장 중앙유라시아의 우위(9~16세기)
신장의 위구르 왕국
카라한조
투르크의 이슬람화
호탄의 개종
카라 키타이
쿠출루크의 카라 키타이 정복
몽골 제국 시기
몽골 시기의 위구르
모굴리스탄: 무슬림 차가타이가
차가타이가의 몰락과 새로운 민족의 형성
중국-중앙아시아의 관계와 동서 대상 무역
근세의 실크로드
3장 이슬람과 중국 사이에서(16~19세기)
타림 분지에서의 수피 교단의 포교
낙슈반디 교단과 호자들
중가르-민주의 대결과 청 치하 신장의 탄생
청 치하의 신장
1864년 반란과 야쿱 벡의 아미르국
4장 제국과 민족 사이에서(19세기 후반~20세기초반)
재정복
재건
일리 유역의 수복
신장의 건성
건성의 완성
20세기 전환기 타림 분지 오아시스에서의 삶
청의 멸망
이슬람식 근대 교육
신장의 자디드 운동과 투르크 민족주의
5장 중국과 소련 사이에서(1910년대~1940년대)
양쩡신의 통치
대홍수: 1930년대의 대립
동투르키스탄 공화국: 1933~1934년
성스차이의 시대
국민당 치하의 신장
삼구(三區)혁명과 제2의 동투르키스탄 공화국
중국 공산당이 신장을 장악하다
6장 중화인민공화국에서(1950년대~1980년대)
통치의 확립과 사회주의의 이행: 1949~1958년
20년간의 문화 대혁명: 1957~1978년
개혁, 회복 그리고 타협: 1978~1980년대
7장 중국과 세계 사이에서(1990년대~2000년대)
실크로드와 유라시아의 교량
발전
공작이 서부로 날아가다: 신장으로의 이주
건조 지역과 반건조 지역: 신장의 환경
불화와 분리주의
21세기 초의 중국령 투르키스탄
결론 줄타기
모든 위구르인의 어머니: 라비예 카디르
먼 서쪽의 동화 같은 성공: 쑨광신
줄 위의 애국자: 아딜 호슈르
부록: 신장의 역사 연대표
주
참고문헌
도판 목록
찾아보기
저자
제임스 A. 밀워드
출판사리뷰
신장의 역사를 이해하기 위해 반드시 읽어야 할 책
신장을 둘러싸고 다양한 물음들이 있다. 고대의 신장에는 어떤 부족이 살았나? 이 지역이 언제부터 중국의 역사에 등장했는가? 이 지역에서 이슬람교의 역할과 특징은 무엇인가? 중국 공산당의 사회주의 정책 아래에서 이슬람교도인 위구르인들은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가? 이 책은 이러한 의문에 답을 제공해주는 유일한 개설서이다. 신장 지역은 지금까지 실크로드와 동서 문명 교류사를 다루면서 부가적으로 언급되는 경우가 많았다. 고대 시기 이 지역의 지리적 환경에서부터, 현대에 벌어지고 있는 민족 분쟁까지 수천 년에 걸쳐 신장에서 이루어진 역사를 정리하고 있는 역사서는 이 책이 국내에서 첫 번째이자 유일하다.
신장의 통사를 다룬 첫 번째 책이라는 점 이외에도 이 책은 전문가뿐 아니라 신장에 관심이 있는 일반인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서술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는 이 책의 저자인 제임스 A. 밀워드(James A. Millward) 교수가 1978년 하버드 대학에서 역사학을 공부하기 시작한 이래 신장에 대한 대중적이고 개괄적인 역사서를 서술하려고 마음먹어 왔기 때문이다. 저자 역시 처음 공부를 시작할 때 신장에 대한 마땅한 개설서가 없어 고생했던 경험이 있었기에 누구보다도 신장에 대한 개설서의 중요성을 잘 알고 있었다. 저자의 이러한 노력으로 인해 다양한 민족들이 등장했다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는 여정이 드라마틱하고 역동적으로 서술될 수 있었다. 또한 신장의 역사를 통사의 체제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수천 년의 시간을 헤매지 않고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 또한 이 책은 신장에 대한 가장 최신의 연구 성과를 담고 있어 신장 지역 역사와 정치를 연구하고자 하는 전문가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다.
실크로드의 명성 뒤에 가려져 있던 ‘신장 사람들’의 역사
지금까지 신장은 동서 문명의 가교라는 측면만 강조되어 왔고, 그런 교류가 이루어진 역사 현장은 주목받지 못했다. 이 책은 이러한 한계를 벗어나기 위해 신장의 민족들이 다양한 외부 세력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만들어간 역사를 다루고 있다. 언어(토하라어, 투르크어, 중국어, 소그드어), 종교(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 조로아스터교, 네스토리우스 기독교, 이슬람교), 왕조(한, 당, 카라한조, 칭기스칸의 몽골 제국과 그 후예들, 중가르, 카자흐, 청) 등, 다양한 민족과 문화의 만남은 이 지역의 역사에 뚜렷한 흔적을 남겼다. 가령 투루판(Turfan)이라는 도시의 지명은 어떤 민족이, 언제 지배했느냐에 따라 거사, 고창, 코초(Qocho), 카라호자(Qarakhoja), 토로번 등 다양한 언어로 알려졌다. 이처럼 신장의 역사는 여러 문화가 만나 때로는 서로 배척하고, 때로는 서로를 받아들이며 만들어졌다. 신장의 역사가 중요한 또 다른 이유가 있다. 어떤 문화적 요소가 한 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곳으로 옮겨갈 때, 그것이 경유하는 지역들에서 변용되고 가공되는 과정을 거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실크로드를 통해 동서를 거쳐 간 문화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라도 신장이 갖는 교류의 ‘현장’으로서의 역사에 주목해야 한다.
가장 ‘정치적인 신장’에 대해 학문적 객관성을 유지한 책
이 책은 전체 분량의 절반 이상을 신장의 근현대사 서술에 할애하고 있다. 이는 최근 정치적으로 불안한 이 지역의 현재 상황을 보다 자세하고 객관적으로 보여 주기 위해 저자가 의도한 것이다. 저자인 밀워드 교수는 이 책에서 정치적 객관성을 유지해 학문적 엄밀성을 높이려 노력해 왔다. 그렇기 때문에 이 책은 신장의 현대사를 다루면서 신장 지역의 분리 독립 운동과 중국의 신장 정책 중 어느 한쪽의 입장을 취하지 않는다. 또한 저자는 최근 일어나고 있는 민족주의적인 논쟁을 신장의 역사에 소급 적용해, 신장의 역사를 ‘중국적’이라든지, ‘위구르적’으로 분류하려는 시도에 반대 의사를 분명히 한다. 오늘날 우리가 익숙해져 있는 대륙적?민족적?국가적 범주를 근대 이전의 역사에 적용하기는 힘들기 때문이다. 저자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현재 중국에서 정치적으로 가장 민감한 지역을 다룬다는 사실 때문에 정치적 문제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 없다. 한국어판 서문에서 저자는 자신이 신장의 역사에 대해 서술한 다른 책 때문에 중국에서 요주의 인물이 되었다는 사실을 밝히고 있다. 저자는 신장의 정치적 상황에 대해 직접 답을 제시하기보다는 독자들이 책을 읽고 판단해주기를 바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