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시인은 마치 변신 마술의 대가와도 같습니다. 그들 또한 사람임이 분명한데도 고양이가 되었다가 맨드라미꽃이 되었다가, 난데없이 구름이 되어 높은 하늘을 자유자재로 날아다니기도 하니까요. 그래서 시인은 사람 말을 할 수 없는 온갖 사물들의 말을 대신 전해주는 사람입니다. 김응 시인의 동시집 『똥개가 잘 사는 법』에는 어린이의 일상을 그린 시부터 어린이에게는 조금 생소할 수도 있는 어른들의 삶을 다룬 시들까지, 이야기처럼 긴 호흡으로 전개되는 시에서 단숨에 사물의 핵심을 파고드는 짧은 시들까지. 남녀노소 누구나 함께 읽으며 감동받으며 공감할 수 있는 폭과 깊이를 가진 동시들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목차
머리말 | 동무들아, 함께 놀자
제1부 매운맛
등나무
모과나무
매운맛
달걀 한 판
오이와 오이지
일방통행
상처
툴툴 퉤퉤
비싼 이모
말씨
돌멩이
제2부 한 바퀴 돌고 또 돌고
남의 떡
상추쌈
옛날 옛적 우리 할머니 시집살이할 때는
한 바퀴 돌고 또 돌고
박꽃 피는 집
아홉 살 할머니
쥐도 새도 모르는 거짓말
사과와 백설공주
삼 형제
세상에 이런 일이
똥개가 잘 사는 법
깃발은 무서워
공중전화는 심심해
제3부 우리 집 어미 개
밤나무와 참새
사월
책
오선지와 음표들
할아버지와 낫
빗소리
잔디밭에 들어가지 마시오
우리 집 어미 개
할아버지 허수아비
숨바꼭질
갈치
함씨
한이불
눈길
마침표
제4부 한쪽이 아플 때
한쪽이 아플 때
손
물고기
늦은 저녁
지하철
맛있는 굴비
호식이 짜식
물은 고집이 세다
걱정
우리 아빠 직업
사다리
해설 | 변신 마술의 힘_ 김제곤
저자
김응
출판사리뷰
재미있는 리듬 속에 감동적인 이야기를 담은 ‘이야기시’들이 독특한 감상을 선사하는 동시집. 나약한 서정 대신 활기찬 이야기로 동시의 새 길을 찾는 시인의 패기가 돋보인다. 짧은 시편들에는 삶의 간명한 진실을 담고 있어 어린이와 어른이 함께 읽을 수 있다. 첫 시집 『개떡 똥떡』으로 평단의 환영을 받으며 등장한 김응 시인의 두 번째 동시집으로, 새로운 시도는 더 정교해지고 목소리는 더욱 단단해졌다.
새로운 형식 ‘이야기시’_ 노래로 읽고 이야기로 즐긴다
김응의 시편들에서 가장 큰 특징은 ‘이야기시’라는 새로운 형식을 선보이는 데 있다. 우리 동시에 흔한 나약한 서정을 거부하고 그 자리를 활기찬 이야기로 채우려는 꾸준한 시도가 보인다. 시인은 단순히 이야기를 시에 담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의성어와 의태어, 과감한 동음 반복으로 정형에 가까운 운율을 만들고, 그 틀에 한 편의 재미난 이야기를 녹여낸다. 그래서 시 읽기를 어려워하는 아이들도 리듬을 따라 재미있게 읽고, 거기 담긴 이야기를 감상할 수 있다.
시시콜콜 말 많은 / 시어머니도 시금치 // 시시때때 여우 같은 / 시누이도 시금치 // 시시비비 말썽 많은 시동생도 시금치 // 시시시 시금치만 봐도 / 치치치 치를 떨었지 -「옛날 옛적 우리 할머니 시집살이할 때는」 전문
‘시금치’라는 단어의 음(소리)을 노래처럼 살리고 어감을 재치 있게 활용해 선명한 이미지를 만드는 시도가 신선하게 느껴지고, 완성된 이야기를 읽는 재미도 쏠쏠하다. 말놀이의 재미와 서사의 감동이 결합되어 독특한 감상을 안겨주는 것이다. 치매에 걸린 할머니를 ‘아홉 살’ 어린이로 설명한 「아홉 살 할머니」가 그 대표적인 예다.
하루는 집에 와서 / 숙제를 하려는데 / 숙제가 뭐였는지 / 까먹었지 뭐야! // 그래서 그냥 놀았어 / 온종일 노니까 즐거웠지 // (...) 일 년이 가고 / 십 년이 가고 / 오십 년쯤 흘렀을까 / 칠십 년쯤 흘렀을까 // 하루는 잠을 자려는데 / 저녁을 먹었는지 / 저녁을 굶었는지 / 까먹었지 뭐야! // 그래서 그냥 자 버렸어 / 배고픈 줄도 몰랐지 // (...) 의사 선생님이 물었어 / 할머니 몇 살? / 그래서 큰 소리로 대답했지 / 아홉 살! -「아홉 살 할머니」 부분
이 시에는 치매에 걸린 할머니가 등장하는 시라면 으레 드러나는 슬픔이나 연민이 없다. 대신 경쾌한 호흡과 발랄한 어조로 할머니의 어린 시절을 그려내고, 거기에 현재 할머니 모습을 겹쳐 보여준다. 할머니의 삶을 미화하거나 동정하지 않고 ‘이야기’를 통해 자연스럽게 독자의 공감을 이끌어내는 것이다. 그래서 시간을 잊은 할머니가 천진난만하게 “아홉 살!”이라고 외칠 때 독자들은 웃음과 함께 진한 감동을 선물 받는다. 시가 허용하는 자유로운 리듬을 십분 활용하면서 이야기의 힘을 조화시키는 것, 즉 동시와 동화의 결합으로 극적 효과를 빚어내는 것은 김응 시인만의 특장이다.
짧은 시에 담긴 삶에 대한 통찰, 어린이와 어른이 함께 읽는 동시
아파도 / 눈 꽉 감고 / 참아 내기 // 가려워도 / 이 악물고 / 버텨 내기 // 나와 상처의 / 줄다리기 // 지면 흉터가 남는다 / 이기면 새살이 돋는다 - 「상처」 전문
어린이는 물론이고 어른도 누구나 상처에 앉은 딱지 때문에 고생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시인은 이 일상의 한 순간을 ‘나와 상처의 줄다리기’라 이름 붙여 시에 옮겨 왔다. 아파도 참고 가려워도 버티면 끝내 새살이 돋는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자명한 사실이다. 그래서 이 시를 읽고 나면 크고 작은 상처를 이겨낸 경험을 떠올리게 되고, 지금 상처가 있는 이라면 그것을 잘 이겨낼 힘을 얻게 된다. 넘어져 다친 어린이도, 마음에 상처를 입은 어른도 마찬가지다. 이처럼 김응의 시는 인생의 어느 시기에 만나도 유효한 감동을 전한다. 귀여운 감상이나 교훈적인 주제가 아닌, 삶의 진실을 찾는 동시이기 때문이다. “여드름쟁이 막내 삼촌은 / 오이를 닮았고 / 주름 많은 할아버지는 / 오이지를 닮았”다는 재치있는 비유에서 시작해 삼촌 역시 “짠물을 견디고 / 시간을 견디면 / 겉은 쭈글쭈글해도 / 속은 꼬들꼬들한” 오이지가 될 거라는 결론으로 세월에 대한 묵직한 통찰을 보여주는 시 「오이와 오이지」, “내 작은 콧구멍도 / 한쪽이 막히면 / 함께 뚫어 보려고 애쓴다”며 한쪽이 힘들 때 “더 힘차게 / 더 뜨겁게 / 더 크게” 보듬어 안으라고 주문하는 「한쪽이 아플 때」 역시 어린이와 어른이 함께 읽고 감상을 나눌 수 있는 작품들이다.
똥개처럼 자유롭게, 모과처럼 단단하게, 물처럼 고집 있게
표제작 「똥개가 잘 사는 법」은 시인이 지향하는 삶이 어떤 것인지 잘 보여준다. “사료도 못 얻어먹고 / 신발도 못 얻어 신고” 개집에서 쫓겨났어도 “맨발로 / 세상을 누비고” 다니면서 마음껏 삶을 살아가는 똥개. 시인의 목소리는 당당하게 시집 한 권을 가득 메운다.
여름 내내 모과나무는 / 태풍한테 맞고 / 소낙비한테 맞아도 / 무릎을 꿇지 않았어요 // 이파리가 찢겨지고 / 나뭇가지 부러지고 / 나무껍질이 벗겨져도 / 모과나무는 속으로 울었어요 // 여름이 지나고 / 가을이 되자 / 모과나무 가지 끝에 / 모과가 주렁주렁 열렸어요. / “내 주먹맛 좀 볼래?” - 「모과나무」 부분
모진 시간을 견디고 단단한 주먹을 내미는 모과나무의 “내 주먹맛 좀 볼래?” 하는 말은 곧 시인의 것이다. 아동문학평론가 김제곤은 「물은 고집이 세다」의 물이 그렇듯, “자기 것이 없지만 잡으려고 하면 쉽게 잡히지 않고 막대기에도 휘둘리지 않는 것, 어느 것보다 중심을 단단하게 지키는 것”이 김응 시의 특징이라고 짚었다(「해설」). 자기만의 눈으로 세상을 보면서 끝없이 삶의 진실을 찾고 그것을 노래함으로써 독자와 소통해야 하는 시인에게 이런 건강한 고집은 소중한 미덕이다. 그런 시인이 “예쁜 것도, 착한 것도, 깨끗한 것도, 그리고 더러운 것도, 쓸쓸한 것도, 외로운 것도 마음 활짝 열고 맞이하겠다.”(「머리말」)고 했다. 김응의 짜랑짜랑한 목소리가 동시단 곳곳, 독자들 마음 구석구석 가 닿아 씩씩한 기운을 불어넣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