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위저드 베이커리』 구병모 작가가 들려주는 ‘나쁜 동화’
당신의 마음을 홀릴 새롭고 감각적인 이야기
『위저드 베이커리』의 작가 구병모가 한층 새롭고 감각적인 이야기 『빨간구두당』으로 돌아왔다. 구병모 작가는 과감하고 도발적인 구성, 치밀한 문체, ‘장르소설적’ 문법 구사로 청소년과 2~30대 독자 모두에게 대중적 지지를 얻고 있으며, 올 2015년에는 소설집 『그것이 나만은 아니기를』로 민음사 오늘의 작가상과 황순원 신진문학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작가의 새 책 『빨간구두당』은 안데르센 동화와 그림 형제 민담 등을 다층적으로 엮고 다채롭게 변주한 여덟 편의 소설을 모은 단편집으로, 동화의 원형을 간직하면서도 그 자체로 독창적이고 완성도 높은 서사를 구축하며 ‘구병모식’ 판타지의 재림을 알린다. 세상은 완전한가, 선악은 완벽히 나뉘는가 등의 사유가 촘촘히 담겨 있어 기존 질서에 불응하고 다른 세계를 꿈꾸는 젊은 세대의 정서와 호응할 만하다. 마음을 홀리는 비극적 마력이 빛나는 작품들이 독자들을 더욱 깊고 넓은 이야기의 심연으로 이끌 것이다.
목차
빨간구두당
개구리 왕자 또는 맹목의 하인리히
기슭과 노수부
카이사르의 순무
헤르메스의 붕대
엘제는 녹아 없어지다
거위지기가 본 것
화갑소녀전
저자
구병모
출판사리뷰
‘나쁜 동화’의 마력
어둡고 위험한 세계로 당신을 초대합니다
어린 시절의 전래동화가 권선징악적 교훈을, 오늘날의 청소년문학이 희망과 긍정을 노래한다면, 구병모의 소설은 뾰족한 문제의식으로 차디찬 현실을 응시한다. 대표적으로 표제작 「빨간구두당」은 제목에서 짐작할 수 있듯 안데르센의 동화 「빨간 구두」를 모티프로 쓰였지만 전혀 다른 서사를 구축한다. 작품의 기저에 동화의 화소가 자리할 뿐, 이야기를 추동하는 것은 ‘색채가 사라진 도시에 나타난 빨간 구두와 그를 지켜본 시민들’이라는 독특한 상상력이다. 안데르센 동화에서 빨간 구두가 허영과 자만을 상징했다면 이 소설에서는 전체주의 사회에 나타난 변화의 징조로 상징되어, 폭넓은 해석의 여지를 남긴다.
「화갑소녀전」 또한 냉혹한 현실의 밑바닥을 비춘다. 「성냥팔이 소녀」에서 안데르센은 누구의 도움도 얻지 못한 소녀가 주검으로 발견된 사회의 참상을 천국에서 할머니와 만나는 아름다운 결말로 덮어 버린다. 그러나 「화갑소녀전」에서 소녀가 성냥을 그어 불을 붙인 뒤 마주하는 풍경은 살벌하고 비극적이다. 그 비극은 누구의 책임일까? 어디서부터 어떻게 잘못되었을까? 작가 구병모는 단순하고 함축적인 동화의 스토리텔링에서 지워지고 감춰져 있던 부분을 꺼내 예리한 감각으로 재배치하며, 우리의 기억에 내재된 고전적 문법을 전복함으로써 ‘나쁜 동화’를 펼쳐 보인다. 고전 동화의 경계 밖으로 추방되었던 다양한 삶의 국면을 담은 이번 작품집은, 확고하게 여겨지는 진리와 교훈을 경계하며 다른 시선으로 바라보기를 촉구하는 제언이다. 즉 아름답고 화려한 것만을 추구하다가 현실의 아픈 자리를 돌아보지 못하는 것은 아닌지 생각을 일깨우는 구병모식 ‘탐미주의보’이다.
“나는 내가 아닌 어떤 모습으로도 존재할 수 없어요.”
망망한 세계에서 자신만의 방법으로 삶을 견디는 사람들
『빨간구두당』의 주인공들 중 윤택하고 풍요로우며 확신에 찬 삶을 사는 이는 거의 없다. 작가는 주인공보다 조연을, 중심보다 주변을 추적하며 누군가의 행복한 삶 뒤에는 아무런 조명도 갈채도 받지 못한 채 쇠하는 이들이 있음을 시사한다. 「개구리 왕자 또는 맹목의 하인리히」에서 신하 하인리히가 그렇고 「거위지기가 본 것」에서 공주를 흠모한 거위지기 콘라트 등도 그러하다.
주인공만이 잘 먹고 잘살고 그 뒤로도 오래도록 행복했다는 전설을 남기는 게 세상 모든 서사에서는 일반화된 양식으로, 선인이든 악인이든, 부자가 되었든 패가망신했든 제 나름의 결말을 가진다. 평범한 이들만이 아무런 결말도 제 것으로 소유하지 못한다.
? 「기슭과 노수부」(92면) 중에서
작가는 이들 ‘조연’의 비루한 삶을 미화하거나 추켜세우지 않으며 한순간의 농담으로 삶의 일면을 웃어넘기지도 않는다. 오히려 그들이 마주한 불안과 축적된 슬픔을 집요하게 파고든다. 이러한 탐구에서 작가 특유의 만연체는 더욱 빛을 발하는데, 엄정한 단어로 치밀하게 쓰인 문장은 독자들에게 얄팍하고 동정적인 감정을 불러일으키기보다 날카로운 현실 인식을 유발한다. 우리가 겪는 혼란과 고통은 대개 외부의 폭력에서 비롯한 것이지만, 그것을 딛고 일어서는 것 혹은 그 상처를 내면의 일부분으로 길들이는 것은 결국 우리 스스로의 몫이라는 강렬한 인식이다. 즉 아무리 “거칠고 난폭한 현실”이라도 우선 그것을 “손안에 뿌듯하게 만”지는 것(123면), 어찌 됐든 지금 여기를 살아가는 것. 이는 등단작 『위저드 베이커리』에서부터 작가가 독자들에게 일관되게 전송하는 메시지이기도 하다.
현실과 맞닿은 다양한 은유가 담긴 작품
옛이야기의 화소들을 버무려 인간의 상처와 근원적 외로움에 다가서면서도, 구병모 작가는 현대적 감각을 바탕으로 한 변주를 통해 세태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견지한다. 가령 대다수 사람들과 다른 색을 보면 처벌 대상이 되는 상황(「빨간구두당」), 좋은 것과 큰 것은 황제만이 전유할 수 있는 세상(「카이사르의 순무」) 등 오늘날의 현실과 맞닿은 다양한 은유가 깃들어 있다. 특히 가부장적 질서에 순응해 온 동화와 민담이 여성주의적 관점으로 변용되면서 작품에 더욱 독특한 분위기가 형성된다. 왜 여자는 아무리 잘나도 남자를 돕는 일밖에 할 수 없으며 누군가의 가족으로만 살아야 하는지(「엘제는 녹아 없어지다」), ‘힘’을 만드는 공장에서 일하면서 어째서 소녀는 아무런 힘도 만져 볼 수 없고 다만 몸이 소비되어야 하는지(「화갑소녀전」) 행간에서 튀어나오는 묵직한 질문들이 독자들을 기다린다.
『빨간구두당』은 옛이야기에 기대어 출발했으면서도 오늘날의 변화된 감성을 담으며 그 자체로 뛰어난 완성도와 문학성을 성취한다. 가장 구병모다운 작품들로 엮였다 할 수 있지만, 정작 이야기는 누구에게도 소유될 수 없다는 듯 저만의 생명력으로 생동한다. 끊임없이 증식하고 더 넓게 공명해 나가는 것이 자신의 운명이라는 듯, 과거에서 현재로 다시 미래로 그렇게 퍼져 나갈 것이라는 듯. 그러므로 이야기는 끝나지 않는다, 다만 새로워질 뿐이다. 그 마르지 않는 문학의 샘에서 다디단 물을 받아 마시는 기쁨은 이제 독자들의 몫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