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국내 최초 번역 『논리학』을 포함한 한국칸트학회 기획 칸트전집 13권인 『논리학·교육론』은 칸트의 주요 강의에 대한 기록이다. 칸트의 직접 저술이 아닌 이 두 강의록의 학문적 중요성은 그것이 칸트의 핵심 사상을 이해하는 단초를 놓는 데에 있다. 비판철학의 초석을 다지고 궁극의 인간성에 다가가는, 칸트철학의 처음과 끝을 다룬 저작이다.
논리학과 형이상학을 가르치는 정교수였던 칸트는 수많은 저서를 출판했지만, 논리학만을 위한 독립적인 저술은 남기지 않았다. 이런 면에서 예셰가 편찬한 『논리학』은 칸트의 논리학을 가장 신뢰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교육론』은 1774년부터 1786년 사이에 네 번에 걸쳐 이루어진 칸트의 교육학 강의 노트를 모은 책이다. 칸트는 자신의 궁극적인 철학 과제로 ‘철학적 인간학’을 설정했다. 칸트의 『교육론』은 궁극적인 인간성 실현에 대한 논의로, 칸트의 ‘철인’을 간접적으로나마 엿볼 수 있는 저작이다.
목차
『칸트전집』을 발간하면서
『칸트전집』 일러두기
논리학
머리말
서론
I. 논리학이란
II. 논리학의 주요 분류-강의-이 학문의 유용성-논리학사 개요
III. 철학이라는 개념-학술 개념에 따라 그리고 세상 사람들의 개념에 따라 고찰한 철학-철학함의 본질적 필요와 목적-철학의 가장 보편적인 그리고 최상의 과제
IV. 철학사에 관한 짧은 개요
V. 인식 일반-직관적 인식과 개념적 인식: 직관과 개념 그리고 특히 그것들의 차이-인식의 논리학적 완전성과 감성학적 완전성
VI. 인식의 특수한 논리학적 완전성
A) 양에 따른 인식의 논리학적 완전성 -양-외연적 양과 내포적 양-인식의 광범위함과 철저함 또는 중요성과 생산성-우리 인식 지평의 규정
VII.
B) 관계에 따른 인식의 논리학적 완전성-진리-재료적 진리와 형식적 혹은 논리학적 진리-논리학적 진리의 기준들-거짓과 오류-오류의 원천으로서 가상-오류를 피하기 위한 수단
VIII.
C) 질에 따른 인식의 논리학적 완전성-분명함-징표 일반의 개념-징표의 상이한 종류-한 사물의 논리학적 본질의 규정-논리학적 본질과 사실적 본질의 차이-명료함, 더 높은 정도의 분명함-감성학적 명료함과 논리학적 명료함-분석적 명료함과 종합적 명료함의 차이
IX.
D) 양상에 따른 인식의 논리학적 완전성-확실함-참이라고 생각함의 개념 일반-참이라고 생각함의 양상: 의견을 갖다, 믿다, 알다-확실한 납득과 남의 말에 따름-판단을 자제함과 유예함-잠정적인 판단-편견과 편견의 원천 및 주요 종류
X.
개연성-개연성 정의-개연성과 그럴듯함의 차이-수학적 개연성과 철학적 개연성-의심-주관적 의심과 객관적 의심-회의적, 독단적, 비판적 사고방식 혹은 철학함의 방법-가설
부록
: 이론적 인식과 실사용적 인식의 차이에 대하여
I. 일반 요소론
제1절 개념
제2절 판단
제3절 추론
I. 지성 추론
II. 이성 추론
III. 판단력의 추론
II. 일반 방법론
I. 개념의 정의, 설명, 기술에 의한 인식의 논리학적 완전성 촉진
II. 개념의 논리학적 분류로 인식의 완전성 촉진
교육론
편집자의 머리말
서론
본론
자연적 교육에 대하여
실천적 교육에 대하여
해제
『논리학』ㆍ이엽 김창원
『교육론』ㆍ박찬구
옮긴이주
찾아보기
저자
임마누엘 칸트
출판사리뷰
비판철학의 초석을 다지고(논리학, 국내 초역) 궁극의 인간성에 다가가는(교육론), 칸트 철학의 처음과 끝을 다룬 저작
한국칸트학회 기획 칸트전집 13권인 『논리학·교육론』은 칸트의 주요 강의에 대한 기록이다. 칸트의 직접 저술이 아닌 이 두 강의록의 학문적 중요성은 그것이 칸트의 핵심 사상을 이해하는 단초를 놓는 데에 있다. 칸트의 대표 저작이라 할 수 있는 『순수이성비판』(근간)의 목차는 칸트의 논리학 강의에서 비롯되었으며, 칸트가 최종적으로 이루고자 했던 인간에 대한 논의의 집대성인 『실용적 관점에서 본 인간학』(한길사, 2021)과 공명하는 인간학적 견해가 교육론에서 드러나기 때문이다.
논리학
『논리학』은 칸트의 논리학 강의를 간결한 교재 형태로 편집한 책이다. 칸트는 자신의 강의에서 사용했던 수기(手記)를 제자 예셰에게 건네며 출판물의 형태로 작업해줄 것을 요청했다. 그 당시 칸트의 논리학 강의 필기는 대량으로 유통되고 있었다. 직접 저술이 아닌 수강생의 기록이었기 때문에 표현이나 내용 면에서 그 한계는 명백했다. 칸트는 이러한 필기 유통에서 비롯되는 문제 해결을 위해 “논리학 수업에서 수강생에게 강의한 그대로” 편찬해줄 것을 예셰에게 부탁했다.
논리학과 형이상학을 가르치는 정교수였던 칸트는 수많은 저서를 출판했지만, 논리학만을 위한 독립적인 저술은 남기지 않았다. 이런 면에서 예셰가 편찬한 『논리학』은 칸트의 논리학을 가장 신뢰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논리학은 질료가 아니라 단지 형식에 관한 이성의 학문이다. 그러니까 특수한 대상이 아니라 모든 대상 일반에 대한 사고의 필수적 법칙에 관한 아프리오리한 학문이다.?따라서 논리학은 (주관적으로, 즉 지성이 어떻게 사고하는가 하는 감각경험적 원리에 따르는 것이 아니라 객관적으로, 즉 지성이 어떻게 사고해야 하는가 하는 아프리오리한 원리에 따르는) 지성과 이성의 올바른 사용 일반에 관한 학문이다.”_37쪽
이 책의 서문에서 칸트는 논의의 대상인 논리학을 규정하고 그것이 철학사적으로 갖는 의의와 특수한 인식으로서의 논리학적 완전성을 해명한다. 본문은 「일반 요소론」과 「일반 방법론」으로 구분되며, 「일반 요소론」에서는 개념·판단·추론을 다루고 「일반 방법론」은 앞에서 언급된 ‘일반 요소’를 학문으로 결합하는 방식을 다룬다. 이 구분은 이후 『순수이성비판』의 선험적 요소론과 선험적 방법론의 구성으로 이어진다.
“인간은 오직 교육을 통해서만 인간이 될 수 있다. 인간은 오로지 교육의 산물이다. 인간이 그 역시 교육을 받은 인간을 통해서만 교육된다는 것은 주목할 만한 일이다.”_216쪽
교육론
“인간은 오직 교육을 통해서만 인간이 될 수 있다. 인간은 오로지 교육의 산물이다. 인간이 그 역시 교육을 받은 인간을 통해서만 교육된다는 것은 주목할 만한 일이다.”_216쪽
『교육론』은 1774년부터 1786년 사이에 네 번에 걸쳐 이루어진 칸트의 교육학 강의 노트를 모은 책이다. 칸트는 자신의 궁극적인 철학 과제로 ‘철학적 인간학’을 설정했다. 『실용적 관점에서 본 인간학』(한길사, 2021)에서 칸트는 ‘철학적 인간학’에 일정 부분 기여하는 인간에 대한 실천적 논의를 전개했지만 그것이 최종적인 칸트의 ‘철인’은 아니었다. 칸트의 『교육론』은 궁극적인 인간성 실현에 대한 논의로, 칸트의 ‘철인’을 간접적으로나마 엿볼 수 있는 저작이다.
“교육 계획을 세우는 사람이 특히 유념해야 할 교육기술의 원칙은 다음과 같다. 아이는 인류의 현재 상태가 아니라 미래에 가능한 좀더 나은 상태에 걸맞게, 즉 인간성의 이념에 걸맞게, 그리고 그의 완전한 본모습에 걸맞게 교육되어야 한다는 것이다.”_221쪽
칸트가 말하는 교육은 양육과 육성으로 구분되며, 육성은 다시 훈육(소극적)과 교수(적극적)로 나뉜다. 그가 지향하는 교육의 목적은 실천이성의 발현이었다. 이는 “스스로 세운 도덕법칙에 스스로 복종할 줄 아는 능력인 인격성, 즉 도덕적 품성을 완성”하는 것이다(339쪽). 칸트의 중요한 개념인 ‘자유’와도 이어지는 교육의 목적은 도덕법칙을 ‘스스로’ 세우고 복종하는 과정에서 진정한 인간성을 발현할 수 있게 한다.
“아마도 교육은 점점 더 좋아질 것이고, 모든 미래 세대는 인간성의 완성을 향해 한 걸음 더 다가가게 될 것이다. 교육의 배후에는 인간 본성의 완전성이라는 커다란 비밀이 놓여 있기 때문이다.”_217쪽
인간은 교육으로 성립되며, 그것은 종(種)적 차원에서만 가능하다. 칸트는 인류 전체의 미래를 교육 경험의 누적과 선험적 자아의 절대성이라는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전망했다. 인류사에 길이 남을 양차 세계대전과 같은 인간성 말살의 경험은 그의 철학이 저물어가는 근대성의 말로로 느껴지게도 하지만, 인간의 자유와 존엄성을 믿고 지켜내려는 그의 사상적·학문적 노력은 시대를 불문하고 지속적으로 요청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