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눈에 보이지 않는다고 내가 없는 건 아니야”
코로나19에 뒤이어 학교를 뒤덮은 ‘학폭 바이러스.’
폭력과 고통, 슬픔과 상처로부터 우리를 구하기 위해 찾아온,
‘레아’의 이야기가 시작된다!
청소년들의 감수성에 눈 맞추며 그들의 예민한 성장 과정을 보듬어온 김혜정 작가의 성장소설집 『레아』가 ‘문지 푸른 문학’ 시리즈로 출간되었다. 코로나19로 뒤숭숭한 학교에 ‘학폭 바이러스’를 퍼뜨리는 ‘창백한 머리 박쥐’가 출몰한다면, 학교 폭력에서 벗어나기 위해 더 강력한 바이러스에 감염되길 바라는 친구가 생긴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레아』에는 난관에 맞닥뜨린 청소년들이 서로에게 의지해 인생의 파고를 넘어가는 이야기 여섯 편이 오롯이 담겼다. 반납해버리고 싶은 10대의 마지막 고비를 그린 『18세를 반납합니다』와 죽음에 관한 여섯 개의 이야기를 다룬 『모나크 나비』 등에 이은 네번째 성장소설집이다. 겪어본 적 없는 고난과 시린 상처를 대하는 아이들의 방황은 여전하지만, 묵묵한 위로와 지지를 통한 연대 의식은 이번 소설집에서 더욱 돋보이는 주제 의식이다.
목차
물풀의 아이
코끼리의 방식
물범의 시간
별들의 장소
신이 내린 날
레아
저자
김혜정 (지은이)
출판사리뷰
“눈에 보이지 않는다고 내가 없는 건 아니야”
코로나19에 뒤이어 학교를 뒤덮은 ‘학폭 바이러스.’
폭력과 고통, 슬픔과 상처로부터 우리를 구하기 위해 찾아온,
‘레아’의 이야기가 시작된다!
청소년들의 감수성에 눈 맞추며 그들의 예민한 성장 과정을 보듬어온 김혜정 작가의 성장소설집 『레아』가 ‘문지 푸른 문학’ 시리즈로 출간되었다. 코로나19로 뒤숭숭한 학교에 ‘학폭 바이러스’를 퍼뜨리는 ‘창백한 머리 박쥐’가 출몰한다면, 학교 폭력에서 벗어나기 위해 더 강력한 바이러스에 감염되길 바라는 친구가 생긴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레아』에는 난관에 맞닥뜨린 청소년들이 서로에게 의지해 인생의 파고를 넘어가는 이야기 여섯 편이 오롯이 담겼다. 반납해버리고 싶은 10대의 마지막 고비를 그린 『18세를 반납합니다』와 죽음에 관한 여섯 개의 이야기를 다룬 『모나크 나비』 등에 이은 네번째 성장소설집이다. 겪어본 적 없는 고난과 시린 상처를 대하는 아이들의 방황은 여전하지만, 묵묵한 위로와 지지를 통한 연대 의식은 이번 소설집에서 더욱 돋보이는 주제 의식이다.
살날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친모를 찾아가는 린영에게는 먼저 입양된 언니가 곁에 있고(「물풀의 아이」), 조로증으로 투병 중인 다훈에게는 꿈속에 찾아와 소원을 들어주는 코끼리 시누가 있으며(「코끼리의 방식」), 해체된 가족과 결별한 친구로 인해 방황하는 ‘나/지연’에게는 ‘별’이라 부르던 동생을 호수에 묻어야 했던 ‘그 애’가 있다(「별들의 장소」). 이성이거나 동성인 것과는 무관하게 친구를 잃고 싶지 않은 은형과 민기는 진서의 방황을 기다려주기로 하고(「물범의 시간」), 학폭 바이러스에 맞서기로 결심한 미주에게는 아빠가 외국에서 만들어 보낸 안드로이드 레아가 있다(「레아」). 성장소설집 『레아』는 곁에서 보내는 묵묵한 지지와 위로가 청소년기의 고난과 상처를 치유하는 데 얼마나 큰 힘이 되는지를 잘 보여준다. 옆에 있어주는 것, 그리고 오래도록 기억하는 것, 그것이면 충분하다는 것을.
“이제 나는 네 안에서 영원히 살게 될 거야. 눈에 보이지 않는다고 내가 없는 건 아니야.”
〔……〕
“미주야, 난 네게 아름다운 기억으로 남고 싶어. 그러니까 제발!”
“넌 아름다웠고, 지금도 앞으로도 그럴 거야.”
미주가 저지했음에도 레아는 기어이 나비를 눌렀다. 순간, 레아의 숨이 사그라지고 몸에서 섬광이 일었다. 미주는 자신이 어딘가로 빨려 들어가는 걸 느꼈다. 아니, 몸 안으로 무언가가 훅 들어오는 걸 느꼈다. (「레아」, 199쪽)
표제작이기도 한 「레아」는 코로나 시국이라는 혼란기를 틈타 번지는 ‘학폭 바이러스’ 퇴치기로서, SF 혹은 판타지 상상력이 돋보인다. “학폭 바이러스로부터 자신과 친구들을 구하는 레아는 파란 줄무늬 나비 가득한 정원을 꿈꾸게”(한길자, 함현고 교사) 하는데, “작가는 바이러스, 폭력, 고통, 슬픔, 상처가 난무하는 아이들의 세계에서 감히 불가능의 가능성을 욕망”(이찬, 시인)한다. 안드로이드인 레아는 미주를 폭력으로부터 구제하는 대신, 미주가 폭력의 원천을 스스로 제거하도록 돕기만 한다. 따로따로 입양된 자매의 아름다운 우애(「물풀의 아이」)나 소중한 누군가를 잃은 사람끼리의 이심전심(「별들의 장소」), 그리고 친구를 잃지 않기 위해 사랑하는 방식과 무관하게 연대하는 청소년(「물범의 시간」)의 모습은 곁에서 함께하는 존재의 소중함을 일깨워준다. 방황하는 청소년기를 잘 넘어가는 데는 그것만으로도 충분할 것이기에.
작가는 『레아』를 묶으며 “가만가만 찾아온 문장들이 있었다”라고 고백한다. “괜찮아, 좀더 이렇게 있어도” “네가 나와 같은 곳을 보고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어” “눈에 보이지 않는다고 내가 없는 건 아니야” 같은 문장들. 이런 문장들과의 “만남은 우연하고 사소하게 일어난 것 같지만 지극한 마음이 이룬 일”이고, “어떤 문장은 한없이 낮고 쓸쓸한 이들을 견디게 해줄 거라고 믿”는다. 『레아』 속 주인공들 곁에 누군가가 있어준 것처럼, 그리하여 막막하고 힘겨운 시간을 견딜 수 있게 해준 것처럼, 독자들 곁에 『레아』가 함께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