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어딘가 숨어 나를 기다리고 있을 것 같은 시”
‘사물을 성찰하는 시인’ 김기택의
일상의 경계가 허물어진 환한 세계를 향한 발걸음
보이지 않는 구석에서 궁구하는 시적 상상력
1989년 『한국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작품 활동을 시작한 이후, 탁월한 시적 묘사로 독자들에게 새로운 감각을 일깨워준 김기택 시인의 신작 시집 『낫이라는 칼』이 문학과지성 시인선 573번으로 출간되었다.
현대인의 일상을 포착해 그 안에 내재된 소외와 단절을 성찰해온 시인은 이번 시집에서 인간 중심의 세계를 허물고 사물의 고유한 상태만이 남은 환한 세계로 나아가는 데 몰두한다. 늘 보이지 않는 틈을 비추는 김기택의 문학적 상상력은 이번 시집을 이끄는 힘이 된다. 자신의 존재를 감각하지 못한 채 순한 얼굴을 한 아기와 강아지 몰티즈의 시선에 부끄러워하다가도 시인은 그 시선을 오지 않을 슬픔을 들여다보는 휠체어를 탄 사람으로 옮긴다. 이는 인간을 사물과 다름없는 대상으로 인식하는 것과 동시에 더는 “인간의 편에서 사물은 사물의 사태, 그 자체로 온전히 인식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은 자만이 체득한 태도라 할 수 있다. 오랜 시간 사물주의자로서 삶을 성찰해온 시인의 겸손함을 독자들은 이번 시집에 묶인 66편의 감각적인 시에서 직접 확인하게 될 것이다.
사물의 편은 견고한 고정관념으로 인식한 삶의 가치와 사물에 대한 판단을 무화시킨다. 소외를 양산하는 ‘지금-여기’, 노동하는 삶과 쓸모 있는 사물을 다시, 최초의 시선으로 바라본다. 자본의 교환가치에 짓눌린 삶과 사물에 대한 고정관념 너머 다른 삶과 다른 가치의 사물을 시원의 자리에서 탐색한다. 사물의 편에서 삶과 사물을 바라본다는 것은 인간 중심주의에 대한 성찰을 수행하고 다른 삶의 가치를 모색하는 일이다. 그런 점에서 김기택 시인은 지금까지 사물에 의한, 사물을 위한, 사물의 편에서 올곧이 사물의 시를 써온 사물주의자이다.
- 송승환, 해설 「사물주의자의 틈」에서
목차
1부
구석
강아지가 꼬리를 흔드는 힘
야생 2
눈
어미 고양이가 새끼를 핥을 때
아기 앞에서
아기는 엄마라는 발음으로 운다
강아지는 산책을 좋아한다
털이 날리고 지저분해지기에
2부
낫
오지 않은 슬픔이 들여다보고 있을 때
눈먼 사람
앉아 있는 사람
위장
또 재채기 세 번
화보 사진 찍기
깜빡했어요
무단 횡단 2
부음
실직자 2
너무
머리가 목에 붙어 있는 일에 대하여
노인이 된다는 것
노숙존자
뒤에서 오는 사람
아랑곳하지 않고
유족
5인실
진동
여탕에서 목욕하기
자가 격리
폭주
용문에는 용문 사람들이 산다
사무원 기택 씨의 하루
3부
혓바늘
벽
변기
돋보기안경
죽은 눈으로 책 읽기
첫 흰 머리카락
가죽 장갑
연필
일인용 소파
유기견
치킨고로케
멧돼지가 온다
비둘기에 대한 예의
꽁치구이
방광은 터질 것 같은데
뜨거운 커피
베개
손톱
스마트폰
중독성
카톡!
낙지
공원의 의자
4부
겨를
물방울이 맺혀 있는 동안
매몰지
외투 입은 여름
참새구이
개나리 울타리
꽃 지고 난 후의 연두
물 긷기
여러 번 버렸으나 한 번도 버려지지 않은 것들
해설
사물주의자의 틈·송승환
저자
김기택 (지은이)
출판사리뷰
손가락만으로도 가려지는 틈에서
길을 잃고, 헤매이고, 나아가는 세계
다 열려 있지만 손과 발이 닿지 않는 곳
비와 걸레가 닿지 않는 곳
벽과 바닥 사이로 들어가 나오지 않는 곳
하루 종일 있지만 하루 종일 없는 곳
한낮에도 보이지 않는 곳
흐르지 않는 공기가 모서리 세워 박힌 곳
―「구석」 부분
이번 시집의 시적 공간을 표명하는 ‘구석’은 평소 인지하지 못했던 장소와 사물을 나타낸다. 이곳은 한낮에도 다른 사물들에 가려져 부재하는 것처럼 보이는 사물들의 거처이자 사람들이 더는 나아갈 수 없는 모서리가 박힌 곳이다. 하지만 이 작은 틈을 후벼보고, 긁어보고, 빨아보는 아기에게 ‘구석’은 더없이 안전한 공간이기도 하다. “아직 제가 태어나지 않은 것 같은 표정으로”(「아기 앞에서」) 스스로를 방어할 어떤 몸짓도 하지 않고 편한 자세로 앉아 있는 아기 앞에서 시인은 이내 자신의 두려움을 들키고 만다. 그와 동시에 “구석에 숨어 있는 구석마다 콧구멍을 들이대”(「털이 날리고 지저분해지기에」)며 자신의 풍성한 털을 찾는 몰티즈의 눈빛에서 알 수 없는 가련함을 느끼기도 한다. 아기가 손가락으로 탐미하고, 몰티즈가 콧구멍으로 감지하는 ‘구석’이라는 공간은 발견은커녕 쉬이 상상하기도 어려운 곳이다. 타인에게 둘러싸인 이 세계에서 인간이 가장 두려워하는 것이 바로 소외이기 때문이다.
이 ‘구석’을 상상하는 일은 순간순간 튀어 오르는 호기심을 억누르고, 고유함을 내재한 사물의 형태를 비트는 것만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것은 사물을, 식물을, 동물을, 인간을 배척하며 자기 안의 모서리를 세우는 일에 불과할 뿐이다. 이 시집의 사물주의자는 막연히 세계의 끝이 절벽이라 여겨온 독자에게 틈을 통해 틈 너머의 세계와 교감하는 일이야말로 사물들의 세계가 도래하는 것이라 말한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이 자기 자신과의 화해라고 덧붙인다.
오지 않는 슬픔을 들여다보고 있을 때
시인은 기꺼이 사물주의자가 된다
똑똑 눈이 땅바닥을 두드린다
팔에서 길게 뻗어 나온 눈이 땅을 두드린다
땅속에 누가 있느냐고 묻는 듯이
곧 문을 활짝 열고 누가 뛰어나올 것만 같다는 듯이
눈은 공손하게 기다린다
땅이 열어준 길에서 한 걸음이 생겨날 때까지
―「눈먼 사람」 부분
사물은 자신의 주위를 에워싼 공기의 투명함마저 번거로워하고, 고양이는 제 몸의 털가죽이 답답한 나머지 벗어던지려 한다. 이렇듯 시에서의 사물은 태초의 모습으로 회귀하려 하는데, 오로지 사람만이 가만히 멈춰 선 채로 더 많은 것을 갈망한다. 이때 강아지와 고양이 그리고 아기의 천진함에 아무런 주석도 붙이지 못했던 시인은 휠체어를 탄 사람을 바라본다. 그가 모두가 지난 자리에 서서 아직 닥치지 않은 슬픔에 관하여 염려하기 때문이다. 모서리에 아슬아슬하게 서 있는 사람이 무언가 가만히 들여다보고 있을 때, 그게 자기 자신의 슬픔과 닮아 있을 때 시인은 기꺼이 사물주의자가 된다.
이때 시인이 재창하는 것은 사물에 대한 공경과 예의로 돌아가자는 것이다. “눈이 닿은 자리, 오직 눈이 만진 자리만을”(「눈먼 사람」) 보는 사람은 자신의 몸가짐을 정돈하고 한평생의 체중이 실린 걸음을 힘겹게 내디딘다. 인간보다 먼저 길을 두드리는 지팡이의 말에 귀를 기울이듯 단 한 발자국만 열리는 길을 향하여 나아가는 일. 여기에는 눈앞의 사물을 볼 수만 있을 뿐 감각하지 못하는 사람에게는 존재하지 않는 공손함이 깃들어 있다. “스스로 일어설 수 없어서/서지 못하고 앉아 있”(「공원의 의자」)는 네 다리의 의자 역시 머리가 없기에 명상에 잠겨 있다고 말하는 시인은, 자신이 본 것을 단언하기보단 일상 속 우연에 기대어 독자들에게 보여주는 것을 택한다.
대부분의 사물이 화자가 되는 김기택의 시에 담긴 시선은 미덥기만 하다. 타인이 구축한 지배 질서의 세계가 아닌 모두가 자신만의 고유함을 되찾는 평등한 사회를 지향하기 때문이다. 이때 시인은 사물로부터 구원받는 순간을 공손히 기다리는 일을 수행한다. 충분히 들여다보고, 기다리고, 그 자리에 머물렀음에도 시인은 “아직 쓰지 않은 시, 어딘가 숨어 나를 기다리고 있을 것 같은 시”에 대해 생각하다 “시가 부끄러워지는 순간”(‘시인의 말’)에 대해 상상한다. 사물주의자가 토로하는 부끄러움이란 사물이 사물답게, 인간이 인간답게 살아갈 이 시대의 희망이 아닐까.
■ 시인의 말
아직 쓰지 않은 시, 어딘가 숨어 나를 기다리고
있을 것 같은 시를 생각한다. 그동안 내가 쓴 모든
시가 부끄러워지는 순간을 생각한다.
2022년 9월
김기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