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하나이며 여럿인 이름의 책
어긋남이 만들어낸 우연한 파문
늦여름이다. 하늘하늘 땀이 흘러내리는 혹서에 너를 사랑해. 그들은 나를 대신하여 말했다.
―「나의 검은 고양이」에서
2016년 현대시학 신인상을 받으며 작품 활동을 시작한 김유림의 두번째 시집 『세 개 이상의 모형』이 문학과지성 시인선 544번으로 출간되었다. 첫 시집 이후 약 반년 만에 나온 이 책은 『양방향』 이전에 씌어진 원고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그러나 책이 되어가는 과정에서 많은 시들을 빼고 고치고 덧붙이면서 처음과는 확연히 다른 모습이 되었다.
『세 개 이상의 모형』에서 김유림은 기억을 지긋이, 유심히, 끈질기게 지켜본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처럼 시간과 기억을 끝없이 떠돌며 두려워했던 지난 시집에서 좀더 나아가, ‘나’라는 내밀한 장소마저 허물어 무수한 문장과 사람들이 드나들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든다. 해설을 맡은 강보원의 말을 빌리면 이 책은 김유림에게 놀이 장소이자 전시 공간, 영원히 임시에 불과한 거주지, 고집스럽고 (이제는) 즐겁게 헤매려는 기록이다. 김유림의 시는 진지한 해석이 필요한 텍스트이지만, 책의 질서에 몸을 맡긴 채 둥둥 흘러가다 보면 기묘하고 귀여운 모형들을 거쳐 경쾌한 파동을 마주치게 될 거라는 기대 또한 걸어봐도 좋겠다. 당신은 우연히 이 시집을 만난다. 당신은 이 책을 헤매고 싶어질 것이다.
저의 시에서는 시간을 건너뛰거나 시간을 끌어오는 것이 중요하고, 장면이 중요하고, 사람이 중요하고, 사람들이 중요하고, 기억이 중요하지만 또 지금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이것들을 한데 모아 집어삼키는 책이라는 존재가 중요합니다. 선형적인 시간의 경험을 제공한다고 여겨지는 책이라는 존재가 이것들을 데리고 갑니다.
-「뒤표지 글」에서
목차
1
엘레네
2
별자리 2
별자리
영상들 2
나의 검은 고양이
1 나의 마음
1 나운의 마음
2 거울 꿈
2 거울 꿈
3
4 도넛 거울
5 탈출
6 너의 의미
7 사랑
7 수영장
8 거울 요정
9 1998년 극장
10 해민의 경우
11
12 거울 사요나라
12
13
13 유진 생각
14
14 세 개 이상의 모형
15 거울 연못
6 너의 의미
16
16 잃어버린 것은 잃어버린
것
17
18
18 벽
19 기계
20
21 하나의 집
22 거울 운동
나의 검은 고양이
23 다음
3
생전유고
4
외투들
나무들
니스
중노동
소
소
탐정
개
K
세 개 이상의 모형
안개
안개
바다가 보이는 집
속초
노래하고 사라진 사람들
사라진 사람들
겨울
꿈꾸는 사람들
바게트
어딘가 따뜻한 나
주유소에서
누군가는 반드시 웃는다
꿈의
꿈
노천탕은 작았다
사랑하는 나의 연인
해설 하나는 여럿 둘은 셋ㆍ강보원
저자
김유림
출판사리뷰
하나이며 여럿인 이름의 책
어긋남이 만들어낸 우연한 파문
늦여름이다. 하늘하늘 땀이 흘러내리는 혹서에 너를 사랑해. 그들은 나를 대신하여 말했다.
―「나의 검은 고양이」에서
2016년 현대시학 신인상을 받으며 작품 활동을 시작한 김유림의 두번째 시집 『세 개 이상의 모형』이 문학과지성 시인선 544번으로 출간되었다. 첫 시집 이후 약 반년 만에 나온 이 책은 『양방향』 이전에 씌어진 원고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그러나 책이 되어가는 과정에서 많은 시들을 빼고 고치고 덧붙이면서 처음과는 확연히 다른 모습이 되었다.
『세 개 이상의 모형』에서 김유림은 기억을 지긋이, 유심히, 끈질기게 지켜본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처럼 시간과 기억을 끝없이 떠돌며 두려워했던 지난 시집에서 좀더 나아가, ‘나’라는 내밀한 장소마저 허물어 무수한 문장과 사람들이 드나들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든다. 해설을 맡은 강보원의 말을 빌리면 이 책은 김유림에게 놀이 장소이자 전시 공간, 영원히 임시에 불과한 거주지, 고집스럽고 (이제는) 즐겁게 헤매려는 기록이다. 김유림의 시는 진지한 해석이 필요한 텍스트이지만, 책의 질서에 몸을 맡긴 채 둥둥 흘러가다 보면 기묘하고 귀여운 모형들을 거쳐 경쾌한 파동을 마주치게 될 거라는 기대 또한 걸어봐도 좋겠다. 당신은 우연히 이 시집을 만난다. 당신은 이 책을 헤매고 싶어질 것이다.
저의 시에서는 시간을 건너뛰거나 시간을 끌어오는 것이 중요하고, 장면이 중요하고, 사람이 중요하고, 사람들이 중요하고, 기억이 중요하지만 또 지금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이것들을 한데 모아 집어삼키는 책이라는 존재가 중요합니다. 선형적인 시간의 경험을 제공한다고 여겨지는 책이라는 존재가 이것들을 데리고 갑니다. 「뒤표지 글」에서
기묘한 이 세상의 기억들을 집어삼킨 책
“나는 유심히 보는 너를 유심히 보았다. 놓친 것. 흐른 것”
뒤표지 글에 적혀 있듯 김유림의 시에서는 시간, 장면, 사람, 기억이 중요하다. 『세 개 이상의 모형』은 이들이 뒤섞인, 선별된 질서로 이루어진 전시 공간으로 읽힌다. 김유림이 상상한 전시는 이렇다. “사람들은 모여서 세 개의 방을 관람하고 있다. [……] 세 개의 방은 김유림의 세 개의 방으로 알려졌지만 세 개의 방이 아니다. 문짝을 떼고 벽을 헐어 서양식 통로를 만들어 모두에게 익숙한 전시 공간이 되었다”(「나의 검은 고양이」, p. 21). 세 개의 방을 나누었던 건 익숙한 질서다. 사람들은 한때 방이었으나 김유림이 분류를 “떼고” “헐어” 어디에 속하는지 모르게 되어버린, 그러니까 1) 과거/현재/미래 중 언제인지 2) 일어났는지 일어나는지 혹은 일어나지 않았는지 3) 꿈인지 현실인지 모를 어떤 ‘곳’에서 김유림의 안내에 이끌려 ‘떠다니는 장면들’을 지나친다. 이제 사람들은 궁금해하며 “도마뱀 시와 망아지 시와 코끼리 시를 읽고 그 아래 전시된 작은 모형들을 보고 있다”(「14/세 개 이상의 모형」).
여러 시들의 제목에 붙은 숫자대로 시집을 읽어나가는 건 힌트일 수도 트릭일 수도 있다. 일단 “동선이 헷갈리지 않게 헷갈리는 모든 것을 정리했습니다”(「나의 검은 고양이」)라는 문장을 믿어보자. 같은 번호가 붙은 시들은 거의 비슷한 문장을 반복하면서 내용을 비틀어 확장하고 서로의 “다른 버전”이 된다. 한편 어떤 제목의 시와 그 시를 쓰고 있는 누군가를 관찰한 같은 제목의 시도 있다. 간결하게 서술된 또 다른 시는 전후에 나란히 배치된 시들과 관계 지어 읽었을 때 더 큰 맥락 안에 포함될 수 있다. 이처럼 이 시집 속에서 시들은 거울처럼 “서로를 바라보거나 서로를 바라보는 서로를 등지고 있다”(「14/세 개 이상의 모형」). 김유림의 「세 개 이상의 모형」이라는 전시가 기억으로 이루어져 있다면, 각각의 시는 이어지는 기억과, 기억의 공백과, 누구에게나 기억은 다를 수 있으며 결국 “언제나 달라지는 기억만이 화자가 가진 전부”(강보원)라는 것을 자연스레 증명하는 것이다.
잊기는 잊었다. 반복하는 것이다. 사이사이 잊기를 잊게 되면 무시할 수 없는 기억이 무시무시하게 반복한다. 기억이 반복하는 것이다. 기억이 반역하는 것이고.
―「영상들 2」에서
하나이며 여럿인 이름들
“우리는 생각하는 김유림을 감싸 안는다”
이전에 김유림은 구멍 난 ‘나’의 기억을 그저 집요하게 바라보고 있었을 것이다. 구조물이 되지 못하고 “벽만으로 이루어진 벽”에 드리워진 너무 큰 시간과 기억의 “그림자”(「18/벽」)에 파묻히기 직전까지, 김유림은 “무서웠지만 어디까지나 가보자는 심정”(「나의 검은 고양이」, p. 68)으로 밀어붙였을 것이다. 마침내 두려움도 무서움도 공허해지는 데 다다랐을 때 빈 이름의 자리를 채우는 것은 우연히 지나고 스쳐가는 다른 사람들의 이름이다. 나운, 나영, 유진, 해수, 타오밍, 명수 등 각각의 이름은 “무언가를 적는” “네가 보는” “내가 생각하는”(「소」) 이름으로서 기입되는 자리마다 모습을 달리하며 반복된다. 김유림의 시가 다른 이름들보다 강력한 고유명사인 “김유림”을 통해서만 가능했다면, 김유림은 “그림자가 떠나는 순간을 포착할 길이 없”어 계속 불어나는 벽의 그림자만을 내내 바라볼 뿐이었을 것이다. 빈 원본의 자리를 대신하는 어긋남을 생산하면서, 사람들-이름들과 김유림은 “때로 서로 사랑하고. 다투고, 오해하고, 같이 전시를 기획하고, 엇갈리며, 함께 걷는다”(강보원). 이 한 권의 전시를 관람하고 나서 당신은 “일렬로 일렬이지만 일렬에 반하는 형태로 천천히 빠져”나오고, “무리를 지어 그러나 여전히 무리의 바깥에서” (각각의) “사람으로서” 걸어갈 것이다. “여기가 끝인가”(「엘레네」), 어리둥절한 채로 말이다.
사람들은 흩어지고 나는 그제야 기지개를 켜고 뒤돌아본다. 그때부터다. 내가 글을 쓰기 시작하는 것은 방이 있고 작은 방이 있고 잘 모르는 방이 있고 그렇지만 방이 있고 거기서 쓰기 시작하는 것이다 눈을 들어 이곳에서 빠져나가는 그림자를
―「나의 검은 고양이」(p. 68) 부분
[시인의 글]
제가 생각할 때 저의 시에서는 시간을 건너뛰거나 시간을 끌어오는 것이 중요하고, 장면이 중요하고, 사람이 중요하고, 사람들이 중요하고, 기억이 중요하지만 또 지금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이것들을 한데 모아 집어삼키는 책이라는 존재가 중요합니다. 선형적인 시간의 경험을 제공한다고 여겨지는 책이라는 존재가 이것들을 데리고 갑니다. 그러나 사람들은 사라지고 사람들은 꿈꾸고 사람들은 사라지지만 사라지지 않았고 그렇지만 사라져서 어디엔가는 반드시 공백이나 간격이 있다는 것. 장면과 사람과 책이 중요합니다. 시간과 공간이, 선별된 아름다움이 중요합니다. 이전의 것과 지금의 것은 결코 이어질 수 없지만 하나의 장면을 통해 이어질 장면을 마련하는 것처럼도 보입니다.
어째서 아름다운 기억은 선별되는가. 그리고 그대로 둘 것인가. 그대로 둘 것인가. 그대로를 둘러싼 긴장은 점점 커져서 아예 사라져버린 것 같기도 합니다. 그 긴장에서 등 돌리고 멀어지는 또 다른 아름다움의 거대한 무게를 가로지르며 저는 거리를 걷고 나무를 좋아합니다.
내가 본 골목의 오리를 다른 사람도 본다는 사실에 부드러운 충격을 받습니다.
[시인의 말]
일어나는 그대로
2020년 여름
김유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