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프로이트가 칭송한 ‘심층 심리의 탐구자’ 아르투어 슈니츨러의 대표작이자,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유작 「아이즈 와이드 셧」 의 원작 소설 『꿈의 노벨레』의 주인공은 ‘부부’다. 남편은 현실 세계에서, 아내는 꿈속에서 결혼 생활에 치명적일 수 있는 에로스의 세계에 빠져든다. 『꿈의 노벨레』에서는 부부가 겪는 에로스의 체험이 대칭적으로 나타난다. 남편의 경우 에로스적 체험이 공공연한 현실 세계의 것인 데 반해, 아내의 경우에는 그것이 내면의 의식 또는 꿈의 세계라는 점이다. 건강한 남녀 공동체에서 에로스적 충동과 사회적 책임 의식은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 그러나 결혼 제도가 이를 가로막는 “한 자루의 칼”로 변해버리는 순간, 부부 사이에 어떤 위기가 올 수 있는지를 이 작품은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작품 말미에서 아침이 밝도록 남편의 모험 이야기를 듣던 아내는 “이제 우리는 정말 깨어났군. 앞으로 한동안은”이라고 말하며 남편을 깊이 끌어안는다. 그러나 뒤이은 그녀의 말은 의미심장하다. “결코 미래를 속단하지 마.” 부부란 에로스적 욕망과 사회적 책임 의식 사이에서 끊임없는 줄다리기를 이어가는 관계인 것이다. 이 책에서 그려지는 안정된 직장, 행복한 가정, 규범적인 생활 등은 세기 전환기 유럽인들이 생각하는 ‘이상적 가정’의 단면도이다. 그러나 작품에 반영된 ‘이상적 가치’ 가운데 대부분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런 의미에서 이 작품은 우리에게 결혼 생활, 나아가 사랑으로 맺어진 관계 전반에 대한 화두를 던진다.
목차
꿈의 노벨레
옮긴이의 말
작가 연보
저자
아르투어 슈니츨러
출판사리뷰
“감추어진 욕망, 거의 예상치 못했던 욕망,
가장 명징하고 가장 순수한 영혼의 한가운데에 있어도
위험천만한 돌개바람에 휘말릴 수 있는 눈먼 욕망”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유작 「아이즈 와이드 셧」 원작 소설이자
아르투어 슈니츨러 문학의 정수를 보여주는 대표작!
안정되고 단란한 부부의 무의식에 잠재된 에로스적 욕망을 그린 아르투어 슈니츨러의 대표작 『꿈의 노벨레』(백종유 옮김)가 ‘문지 스펙트럼’ 시리즈로 새롭게 리뉴얼되어 출간되었다. 슈니츨러 문학의 정수를 보여주는 걸작으로 손꼽히는 『꿈의 노벨레』에는 세기 전환기 빈에서 이상적인 가치로 여겨졌던 안정된 직장, 행복한 가정, 시민사회의 규범적인 생활을 영위하는 ‘부부’가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그러나 남편은 현실에서, 아내는 꿈속에서 내면적 욕구를 자극하는 에로스의 모험을 겪는다.
오스트리아 작가 아르투어 슈니츨러는 히스테리와 최면 등 인간의 무의식과 심리를 다루는 정신의학 분야에 관심을 가졌는데, 이러한 관심은 그의 문학에서도 잘 드러난다. ‘내적 독백’과 같은 혁신적인 서사 기법을 통해 인간의 은밀한 내면과 무의식을 여과 없이 이끌어내며, 프로이트로부터 ‘심층 심리의 탐구자’라는 찬사를 받기도 했다. 작가로 성공하여 부와 명성을 얻기도 하지만 도박과 낭비로 수차례 어려움을 자초했고, 젊은 시절의 여성 편력은 카사노바의 환락과 모험을 옮겨놓은 듯했다. 슈니츨러는 14세 때부터 죽는 날까지, 처음 3년을 제외하고는 하루도 빠짐없이 일기를 쓴 것으로도 유명한데 정신과 의사가 병든 영혼을 대하듯 자신의 내면을 기록했다. 이렇듯 슈니츨러 문학은 자신의 체험과 내면을 생체 해부하듯이 관찰하고 진단해낸 결과이고, 이를 통해 그가 말하는 메시지는 모든 양상의 고정관념에서 벗어나자는 것이었다.
“우리 사이에 한 자루의 칼”
에로스적 충동과 결혼 제도 간의 팽팽한 줄다리기
주인공인 남편 ‘프리돌린’은 “유능하면서도 성실하고 전도양양한 의사”로서 “최고의 남편감”이며, 그의 아내 ‘알베르티네’는 “천사와 같은 눈빛에 가정주부의 자태와 모성”이 흘러넘친다. 남편은 보다 안락한 삶을 위해 온종일 진료에 매달리고, 남편 못지않게 아내도 집안일로 쉴 틈이 없다. 부부의 행복한 결혼 생활은 남편의 안정된 직장과 아내의 헌신이 그 전제다.
소설은 하루의 일과를 마친 가족이 식탁에 둘러앉아 있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동화책을 읽는 총명한 딸아이, 아이의 이마를 쓰다듬는 부모의 손길, 남편과 아내가 주고받는 부드러운 미소, 붉은 등불은 행복한 가정의 상징이다. 아이가 잠든 후, 부부는 지난밤 가면무도회에서 있었던 일에 대해 잡담을 나누다가 점점 더 진지한 대화로 빠져든다. “감추어진 욕망, 거의 예상치 못했던 욕망, 가장 명징하고 가장 순수한 영혼의 한가운데에 있어도 위험천만한 돌개바람에 휘말릴 수 있는 눈먼 욕망”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는 동안, 두 사람의 대화는 비밀스러운 영역에까지 이르게 되고 결국 남편은 현실에서, 아내는 꿈속에서 에로스의 모험에 몸을 던진다.
『꿈의 노벨레』에는 부부가 겪는 에로스의 체험이 대칭적으로 나타난다. 남편의 경우 에로스적 체험이 공공연한 현실 세계의 것인 데 반해, 아내의 경우에는 그것이 내면의 의식 또는 꿈의 세계라는 점이 흥미롭다. 덴마크 해변의 휴양지에서 프리돌린은 우연히 마주친 나체의 소녀를 향해 손을 내밀지만, 알베르티네는 젊은 장교에게 먼저 손을 내밀 수 없고 오로지 상상 속에서만 그에게 접근할 수 있다. 알베르티네의 꿈속에서, 사회적 동반자로서의 남편과 성적인 파트너로서의 남자는 완전히 분리되어 별개의 인물로 나타난다. 그녀의 꿈에 등장하는 프리돌린은 마땅히 성실한 남편의 책무를 다해야 하고 그 결과는 죽음이다. 남편이 온갖 위험을 무릅쓰는 동안 뭇 남성들과의 에로스를 즐기는 알베르티네는, 프리돌린이 사형을 당하는 순간에도 “할 수 있는 한, 날카롭고 큰 소리로” 비웃음을 보낼 뿐이다. 프리돌린도 비밀리에 열린 에로스의 가면무도회에 참석하지만, 그 모험은 성공하지 못하고 오히려 신분이 발각될 위기에 처한다. 이때 정체 모를 여인이 스스로를 희생하여 ‘프리돌린’을 구하는데, 그 여인을 찾아 나서는 과정에서 프리돌린은 그녀에게서 알베르티네의 얼굴을 무의식중에 떠올리고 있었음을 깨닫는다. 에로스의 파티에 참석한 여인과 자신을 위해 희생한 여인은 분리될 수 없는 한 사람임을 인식하게 된 것이다.
건강한 남녀 공동체에서 에로스적 충동과 사회적 책임 의식은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 그러나 규범적인 결혼 제도가 이를 가르는 “한 자루의 칼”이 되면, 결혼에 의한 부부 관계는 서로 “죽이지는 않고 못 배길 원수” 사이가 되고 만다는 것을 이 작품은 단적으로 보여준다. 작품 말미에서 아침이 밝도록 남편의 모험 이야기를 듣던 아내는 “이제 우리는 정말 깨어났군. 앞으로 한동안은”이라고 말하며 남편을 깊이 끌어안는다. 그러나 뒤이은 그녀의 말은 의미심장하다. “결코 미래를 속단하지 마.” 부부란 에로스적 욕망과 사회적 책임 의식 사이에서 끊임없는 줄다리기를 이어가는 관계인 것이다.
이 책에서 그려지는 안정된 직장, 행복한 가정, 규범적인 생활 등은 세기 전환기 유럽인들이 생각하는 ‘이상적 가정’의 단면도였다. 그러나 작품에 반영된 이상적 가치는 많은 부분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런 의미에서 이 작품은 우리에게 결혼 생활, 나아가 사랑으로 맺어진 관계 전반에 대한 의미심장한 화두를 던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