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한국 문학의 역동적 전개 현장과 함께해온
김주연 50년 비평의 총결산과 그 전모
1966년 『문학』지에 평론이 당선되며 등단한 이래, “개성과 개별적인 것을 존중하는 합리주의”와 “문학의 인간애적 이상의 구현”에 주목하는 비평적 태도로, 한국 문학의 역동적인 전개 현장의 한복판에서 그 역사를 함께 일궈온 문학평론가 김주연, 그의 50년 비평 세계를 총결산한 『예감의 실현―김주연 비평선집』(문학과지성사, 2016)이 출간됐다.
김주연은 김병익, 김치수, 김현과 더불어 『문학과지성』을 만들었고, 문학과 사회의 길항 속에서 전근대적 ? 반지성적 ? 샤머니즘적 사고방식을 지양하고, 자아와 개성의 확립에 천착한 비평과 저작들을 지속적으로 발표하는 등 4?19세대 비평 그룹의 핵심 일원으로 반세기 동안 한국 문학을 동반한 삶을 살아온 우리 시대 비평가다. 또한 그는 독일 정신의 본류를 관통하는 신칸트학파와 낭만주의 정신에 깊게 영향 받은 독문학자로서, 전체와 개인, 이성과 감성, 사회와 자아, 정신과 육체, 세속과 신성성 등 양극성의 대립과 갈등에 주목하고 이를 극복하는 문학과 이론을 탐구하는 데 집중적인 관심을 기울이며, 문학을 둘러싼 현실의 변화를 두루 살피는 총체적 성찰로 “한국 문학의 소중한 균형추” 역할을 해온 대표적 인문학자이기도 하다.
특히나 1990년대 후반부터 디지털 문명/사이버 문화와 문학에 대한 조심스런 예단과 주목(『가짜의 진실, 그 환상』, 1998)을 한 바 있는 그는, 2000년대 초에 들어서면서 보다 가속화된 활자문화 시대에서 영상문화 시대로의 이행을 주시하며 이를 문학장 안에서 추동하는 한편(『디지털 욕망과 문학의 현혹』, 2001), 이론 비평 및 개별 작품평과 함께 한국 문학 안팎의 정황을 두루 살펴온 말 그대로의 현장 평론가이다. 『예감의 실현』은 이러한 김주연의 방대한 비평 세계에서 가장 핵심적인 글들을 선별해 모은 대표 선집이다. 이 책을 통해 독자는 김주연 비평의 전모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60년대 문학과 관련하여 논쟁을 불러일으킨 평문 「새 시대 문학의 성립」(1968)에서 60, 70년대를 거쳐 80년대 초반까지 한국 현대시 비평의 초석이 된 주요 평론은 물론, 2000년대 이후 발표된 김영하, 정영문, 편혜영에 관한 평론에 이르기까지 그의 50년 비평이 아우른 한국 근현대 문학의 주요 국면들을 다시 만나게 될 것이다.
목차
책을 엮으며 4
1부 비평을 찾아서
2부 한국 문학의 맥락
3부 추억과 서정-시론
4부 현실 속으로, 현실을 넘어서-소설론
김주연 등단 50주년 기념 대담
김주연의 말
출전 1185
찾아보기 1190
저자
김주연
출판사리뷰
분석과 비판적 이해에 기반한 총체적 성찰,
현실에 충실했던 비평이 보여준 ‘예감의 실현’
이 책은 1969년 박우사에서 출간된 김주연의 첫 비평집 『상황과 인간』 이후 2016년 현재까지 출간된 선집과 공저, 편저를 제외한 총 13권의 비평집에서 총 63편의 주요 평문을 선별하여 4개의 주제별로 묶고 있다. 1부 〈비평을 찾아서〉에는 특정한 주제에 따른 포괄적인 문학이론과 비평에 관한 논의를, 2부 〈한국 문학의 맥락〉에는 일정 시기의 한국 문학 전반의 맥락에 대한 논의를 담은 글들을 묶었다. ‘60년대 인식의 출발’에서부터 ‘사회 비판과 시민문학론’, ‘근대문학 기점 논의’, ‘대중문학 논의’, ‘현대시와 신성 회복’, ‘산업화의 안팎과 신진 소설가의 출현’, ‘기술 발전과 대중문화’로 인한 세기말의 젊은 소설들의 출현과 90년대 시의 신표현주의적 경향 등, 여기 묶인 평문들의 제목을 일별하는 것만으로도, 김주연의 비평적 시선과 분석의 대상이 역동적으로 변화해온 지난 한국 사회 문화 현실과 문학장에 돌출해온 주제와 작품에 긴밀하게 닿아 있음을 알 수 있다.
언어에 침착하게 천착한 첫 세대인 그는 김현과 함께 60~80년대에 걸쳐 한국 현대시의 분출하는 생명력과 다채로운 양상을 주목하며 의미 있는 분석을 활발하게 시도하기도 했다. 그 결실이 3부 〈추억과 서정―시론〉으로 모여, 김수영, 김춘수, 고은, 황동규에서부터 이성복, 김혜순, 황지우 등에 이르는 다양한 문학적 세대의 시 세계를 조망하고 있다. 4부 〈현실 속으로, 현신을 넘어서-소설론〉은 최인훈, 서정인, 황석영, 이청준, 이문구에서부터 김영하, 정영문, 편혜영에 이르기까지, 역시나 한두 개의 경향성으로는 결코 묶일 수 없는 소설가들의 작품 세계를 깊이 있고도 폭넓게 아우르면서 이를 꾸준히 당대의 문화 산업 속에서 날카롭게 호명하고 또 분석을 시도한 글들을 모았다. 3부 시론과 4부 소설론은 대상 시인과 소설가의 등단 연도를 기준으로 삼아 글을 배치하여, 그 자체로 당대를 대표하는 시인과 소설가의 면면은 물론 연대기적 흐름을 가늠해볼 수 있게 했다.
이어 지난 『문학과사회』 여름호(통권 제114호)에 마련했던 〈김주연 등단 50주년 기념 대담―디지털 문명과 영성에 대하여, 그 예감의 비평〉을 함께 실어, 지난 반세기 동안의 김주연 개인의 역사와 한국 문학의 역사를 함께 되돌아보는 한편, 앞으로 도래할 문학에 대한 김주연 특유의 거침없고도 예리한 사유의 진면목을 생생한 육성의 느낌으로 전달하고자 했다. 각 부에 수록된 글들의 발표 시기는 글 말미에 적고, 대상 작가와 관련한 저자의 주요 평문 가운데 함께 읽어보면 좋을 평론의 수록 지면도 함께 밝혀두었다. 수록된 63편의 출전은 책 뒤에 따로 지면을 두어 정리했고, 30여 쪽에 달하는 상세한 인물과 작품, 이론과 개념어에 대한 〈색인〉과 김주연이 저술과 번역에 참여한 모든 책의 〈목록〉을 밝혀, 선집으로서의 충실함에 보탬이 되고자 했다. 바라건대, 김주연의 날카로운 시선을 거쳐 간 지난 50년간의 현대 한국 문학의 중요한 변곡점과 다채로운 특징들이 이 한 권의 책에 충분히 대표성 있게 반영되었다고 해도 좋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