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월광 아래 들려오는 바람과 파도의 노래
기억의 수평선 너머를 향한 영원한 항해
등단한 지 42년, 시인 장영수의 여섯번째 시집 『푸른빛의 비망록』이 나왔다. 1973년 계간 『문학과지성』 봄호에 시를 발표한 이래 지금까지 문학과지성사에서 『메이비』(1977), 『그가 말했다』(2006) 등 다섯 권의 시집을 출간해온 시인이 9년 만에 신중을 기해 가려낸 50편의 숙성된 시들을 묶은 시집이다. 『푸른빛의 비망록』에서 장영수는 끊어질 듯 이어지고 이어질 듯 끊어지며 독특한 리듬을 자아내는 특유의 언어적 파도를 타고, 평생 탐구해온 삶과 자연 사이를 시의 ‘범선들’로 ‘항해’하고 있다. 잠시 닻을 내리는 듯하지만 이 역시 “여전히 숱한 범선들”을 또다시 내보내고 받아들이려는 채비일 뿐이다.
장영수는 시와 삶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안팎의 싸움을 단 한 번도 묵과한 적이 없다. 그의 붓이 줄곧 바람을 그리기를 멈추지 않는 것은 그의 시간이 ‘조화로운 총체성’을 향한 항해의 과정 중에 있기 때문이다. 달의 궤도가 생의 지향과 겹쳐질 때, 필연적으로 ‘푸른빛의 비망록’ 과 같은 도수 높은 바다의 술이 숙성되어 나오고, 이는 시의 시간이 생의 바람을 견디는 인고의 시간이라는 사실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범선들’은 낡아도 장영수의 항해는 다시 이어질 것이다._장철환(문학평론가)
목차
기억의 수평선 너머에서 1
생활 풍경들
매사의 이치
제3의 생명체들
저기 저 벌 나비들
도시의 야생 고양이들
보안등 불빛
검푸른 물
반듯이 혹은 모로 누워 있을 뿐인 듯
생시의 엄연한 현실
이곳에 살아가기 위하여
육체노동자의 말씀
도시의 새벽
낙원의 세계는 저물지 않으리
그 어느 날
마음의 풍경
혹한의 겨울밤
겨울바람화첩들
신성한 빛의 통로
봄바람화첩들 1
봄바람화첩들 2
향, 향들
하루 한 달 한 해
여름바람화첩들 1
여름바람화첩들 2
행복한 시간
참으로 곤란하고 불편한
빗방울들
가을바람화첩들 1
가을바람화첩들 2
노랑보라빨강초록 ……
달빛 반짝이는 밤바다
소나무 숲이 어우러진 바닷가 마을
1960년대의 묵호항
화진포에서 맺은 사랑
자연의 색깔들
조화 혹은 부조화
촛농
월광
마음 가벼움이 깃털처럼도 느껴지는 시간
선착장 풍경
1980년대의 남포동 블루스
찰나적인 조응의 한때
시와 삶의 관계
십 년 이십 년 삼사십 년
영적 채무자의 언술
산뜻하기 이를 데 없는 온갖 형상들을 바탕으로
기억의 수평선 너머에서 2
묵시록
눈빛
해설 | 바람화첩의 월광, 시와 생의 항해술?장철환
저자
장영수
출판사리뷰
월광 아래 들려오는 바람과 파도의 노래
기억의 수평선 너머를 향한 영원한 항해
등단한 지 42년, 시인 장영수의 여섯번째 시집 『푸른빛의 비망록』이 나왔다. 1973년 계간 『문학과지성』 봄호에 시를 발표한 이래 지금까지 문학과지성사에서 『메이비』(1977), 『그가 말했다』(2006) 등 다섯 권의 시집을 출간해온 시인이 9년 만에 신중을 기해 가려낸 50편의 숙성된 시들을 묶은 시집이다. 『푸른빛의 비망록』에서 장영수는 끊어질 듯 이어지고 이어질 듯 끊어지며 독특한 리듬을 자아내는 특유의 언어적 파도를 타고, 평생 탐구해온 삶과 자연 사이를 시의 ‘범선들’로 ‘항해’하고 있다. 잠시 닻을 내리는 듯하지만 이 역시 “여전히 숱한 범선들”을 또다시 내보내고 받아들이려는 채비일 뿐이다.
장영수는 시와 삶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안팎의 싸움을 단 한 번도 묵과한 적이 없다. 그의 붓이 줄곧 바람을 그리기를 멈추지 않는 것은 그의 시간이 ‘조화로운 총체성’을 향한 항해의 과정 중에 있기 때문이다. 달의 궤도가 생의 지향과 겹쳐질 때, 필연적으로 ‘푸른빛의 비망록’ 과 같은 도수 높은 바다의 술이 숙성되어 나오고, 이는 시의 시간이 생의 바람을 견디는 인고의 시간이라는 사실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범선들’은 낡아도 장영수의 항해는 다시 이어질 것이다._장철환(문학평론가)
기억의 수평선 너머를 항해하는 시의 범선들
첫 시집 『메이비』의 해설에서 문학평론가 오생근은 장영수의 자연이 “언제나 인간화되어 살아 있는데, 바로 그러한 점이 그의 詩를 젊고 생기 있”게 만드는 요인이라고 평했다. 수십 년이 지나도 장영수 시의 ‘생기’는 변하지 않는다. 장영수에게 자연은 바라보며 음풍농월을 즐기거나 초월적이며 상징적이라 영영 다다를 수 없는 공간이 아니다. ‘나를 통하여서 우리에게, 우리를 통하여서 자연에게 들어가겠다’는 처음의 다짐에서 엿보이듯, “결코 수월하게 끝을 볼 수 없는/기나긴 내면적인 싸움”이 벌어지는 곳이다. 이번 시집에서도 시인은 “시 또는 삶의 이름으로” 자연과 삶과 시가 팽팽하게 “긴장”하며 만나는 지점을 향해 항해의 출사표를 던진다. 일상의 사건들, 일지를 써내려가듯 관찰한 시공간, 수십 년간의 교편생활을 돌이킨 추억들처럼 그를 “관류하는 삼라만상”(「시와 삶의 관계」)과 삶에서 추출해낸 의미가 만나, “바람의 방향과 속도를 몸으로 그려내”(「기억의 수평선 너머에서 1」)듯 ‘생기’ 가득한 시가 된다. 이러한 생명력은 “안일한/언행 심사”나 “자신의/각종 진중치 못한/원인적 언행들”을 “섬광 같은/질책들”로 다스리고 “진리의 모서리/모서리에 부딪치거나/양심의 예리한 정”을 때려 타성에 젖지 않게 스스로를 날카롭게 벼리는 오랜 과정을 겪어야 가능한, 장영수의 균형감이 낳은 산물일 터다((「그 어느 날」).
너를 관류하는 삼라만상들을
너의 빛깔로 길어 올려서 생짜로
내놓거나 다듬고 쥐어짜고 데치고
튀기고 빚어서 흠뻑 퍼 나르는
일들을 하다 보면
생애 내내 자기 자신 혹은 또 하나의
자기 자신 몇몇의 자기 자신들과
결코 수월하게 끝을 볼 수 없는
기나긴 내면적인 싸움에 몰입하게 된다
그 주변을 기웃거리는 소박한
너의 그림자 진지하고 의연하고
다소곳하고자 하는 너의 심사들은
어느 새벽이나 한밤중에 과연
어디를 무엇을 향하고 있는 것일까
―「시와 삶의 관계」 전문
청명한 달밤 적막에
에워싸여 적막을 밀치고
애잔하게 정교하게 절절히
흘러 퍼지는 저 선율들
너 자신의 생의 어느
모서리 또는 한 중간을
예리한 날[刃]처럼 켜켜이
스쳐놓기도 하는 저 선율들
감미롭기 그지없는
선율들 무연한 선율들
- 「월광.푸른빛의 비망록」 전문
삶의 정수를 향해 무한히 이어지는 파동들
자연과 삶과 시의 접점에 다다르기를 시도하고 시적 고양과 현실로의 하강을 반복하면서, 장영수는 아래위 양옆으로 흔들리는 이 길 없는 길을 파도라 이름 붙인다. 그리하여 그에게 시를 쓰는 일은 단발적 사건이 아니라 언제라도 다시 시작될 수 있고 이어지는 것이 된다. 시인은 어디서 불어오고 가는지 알 길 없는 바람도, “텅 비어버린 듯싶은”(「겨울바람화첩들」) 겨울 풍경에서 “지구의 태양의 우주의 향”(「봄바람화첩들 1」)이 넘치는 봄을 지나 “원색적 원초적인 움직임들”(「여름바람화첩들 1, 2」)이 되었다가 “비로소 본래의 대지로 담담히 회귀”(「가을바람화첩들」)하기까지 묵묵히 지켜본다. 항해할 때 가장 중요한 두 요소인 파도의 흐름과 바람의 방향을 면밀히 살피고 오래도록 관찰하여 “무연히 이어지고/이어지는 것들”(「눈빛」)을 시로 체화하는 것이다. 끊길 듯 이어지며 독특한 리듬을 산출하는 시적 언어의 흐름 역시 시집 전체의 결과 맞아떨어진다. 마침내 “그의 시 자체가 파도와 바람과 달빛에 일렁이는 ‘범선들’”(장철환)이라고 말할 수 있다. 시집을 구성하는 모든 것들이 “조화로운 총체성”을 이루기 위해 살아 움직일 때, 장영수의 시는 뜨겁지 않아도 영영 타오를 수 있는 잉걸불처럼 자생적인 생기를 얻는다. “어디에나 필경은 무르익어 넘치고 있을 숱한 시편들”에 대한 신념에 가까운 “분명한 확신”을 품을 수 있는 까닭일 것이다(‘뒤표지 글’).
너의 생애를 통해
너의 눈빛에 담기게 된
숱한 사연들은 세월의
소각장 망각의
화염 속에 스러졌다
비눗방울처럼
바스라지기도 했다
그렇지만
무연히 이어지고
이어지는 것들
이 세상의 눈빛들이
간절히 보듬으려
하는 것들은
불타지 않고 남았다
남아서 이어졌다
―「눈빛」 전문
시집 속으로
텅 비어버린 듯싶은
활엽수림 그 언제라도
방향성이 확연
상큼한 잔가지들
샤프펜슬 심
못지않은 무수한
잔가지들이 무한
세필 스케치 중인
겨울바람의 형상들
얼어붙은 듯
아득한 창공이나
흰 눈을 바탕화면으로
질주하는 찬 바람
시린 바람들을
세필로 옮겨놓는
무수한 잔 나뭇가지들
그 한 생의 추운 날들이
차곡차곡 묻어나는
겨울바람화첩들 그
곳곳에 자상처럼
새겨지는 무연한
흔들림 혹은 나부낌들
―「겨울바람화첩들」 전문
해가 바뀐 또 다른 봄날 익숙한 듯 낯선
봄바람들을 새롭게 대면하노라면 세세연년에 걸친
일련의 봄바람화첩들 몇몇 쪽들이 솔잎 향내쯤을
머금은 채 차근차근 겹쳐오는 소리 들린다
―「봄바람화첩들 2」 전문
고온다습한 여름
한낮이나 깊은
열대야의 숨 막히도록
후끈한 열기 속에서
바람의 기본 속성에
기대보고자 하는
육신들은 시원한
바람결에 내재된
일련의 산뜻함을
추출해내기에
여념이 없었다
―「여름바람화첩들 1」 전문
세찬 바람이 따로 불지 않아도
본래 이치에 따라 떨어질밖에 없을
나뭇잎들 그 효용성이 다한 존재들을
가차 없이 마구 떨어뜨리는 가을바람의
조용한 감촉이나 소리들 혹은
비바람 광풍을 머금은 울부짖음들
비로소 본래의 대지로 담담히 회귀
할밖에 없는 낙엽들 각도에 따라서
때로는 다소 애매하거나 소란스럽거나
부산스러운 존재로도 읽히는
―「가을바람화첩들 2」
뒤표지 글(시인의 글)
그 어디에나 필경은 무르익어 넘치고 있을 숱한 시편들, 지천으로 자생하고 있을 시편들에 대한 분명한 확신 혹은 신념 속에서.
시인의 말
생을 구성하는 인자들 간의 보편성 긴장에 대한 탐구가 새삼 필요한 듯싶은 날에.
순리적인 길들 낙원의 세계를 향하여.
2015년
장영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