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젊은 시절 한때밖에 돌아볼 게 없다는 건,
인간이 결국 보잘것없는 존재라는 뜻일 거야
”
그땐 미처 알지 못했던 슬픔의 진원지로
끝 모를 길을 떠난 삶의 순례자들
2007년 『달의 바다』로 문학동네작가상을 수상한 정한아가 두번째 소설집 『애니』를 출간했다. 네 권 통틀어 3년 만의 책이고, 소설집으로는 6년 만이다. 삼십대 중반이 된 작가가 서른 살부터 써온 8편의 소설들엔 이십대의 그것과는 다른 변화의 기미가 두드러진다. 정한아 특유의 긍정과 성장의 서사, 위태롭지만 찬란하게 빛나는 동시대의 젊음을 빚어내던 문장들은, 이제 시간의 흐름 속에 묻힌 삶의 상처를 품고 그 근원들을 세심하게 매만져 복원해낸다. 무언가를 영영 잃었기 때문에, 혹은 무엇을 끝내 잊을 수 없기에 저마다의 사정으로 상처 입은 사람들은 그 상흔을 치유하기 위해 각자 슬픔의 진원지를 향해 느린 발걸음을 옮긴다. 미약한 서로의 도움을 받아 진실을 똑바로 응시하고 수긍하면서, 삶의 밑바닥에 이르러 비로소 작은 애도에 도달하는 『애니』의 소설들은 한없이 길을 걷는 순례자의 여정을 닮아 있다.
목차
그랜드 망상 호텔
애니
빈방
예언의 땅
러브레터
신행(新行)
해먹
오픈하우스
해설 애도, 맥동하는 희망의 몸짓_ 이소연
작가의 말
저자
정한아
출판사리뷰
어떤 상처는 영원히 남는다
아이를 낳으면 모성애는 저절로 생기는 걸까? 어린 시절은 누구에게나 따스한 기억인가? 결혼과 출산으로 생겨나는 사회단위, ‘가족’은 너무 많은 신화와 당위로 이루어져 있다. 누구나 살아가면서 상처를 적립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가장 사랑하고 사랑받아야 마땅하다고 치부되는 가족에게서 사람들은 사랑만큼 많은 상처를 받게 된다. 정한아의 소설에 등장하는 가족은 이상적인 이미지와는 거리가 멀다. 엄하지만 믿음직한 아버지, 자상하고 살뜰한 어머니, 말 잘 듣고 쾌활한 아들딸은 어디에도 없다. 아버지가 바람을 피운다거나(「빈방」) 어머니가 알콜중독이다(「그랜드 망상 호텔」). 이도 저도 아니라면 일이 너무 바빠 주변을 챙길 여력이 없거나(「오픈하우스」), 아예 죽고 세상에 없다(「신행(新行)」). 경중의 차이는 있지만 자식들도 저마다 트라우마를 안고 살아간다. 거식증에 걸리고(「오픈하우스」) 제대로 된 관계를 맺지 못하며(「그랜드 망상 호텔」) 자기를 망가뜨릴 것이 뻔한 남자와 결혼하고(「신행」) 이혼한 뒤 쉽게 일자리를 갈아치우며 부모에게 손을 벌린다(「애니」). 상처는 마치 운명처럼 자식의 자식들에게까지 대물림될 것만 같다. 가족은 완벽한 안식처가 아니라, 어디 하나쯤 부족한 구성원들 사이에 사랑과 당위를 덧발라 지탱해놓은 위태로운 구조물에 가깝다.
정한아의 소설 속 상처받은 사람들은 대개 이러한 ‘가족’ 구성원 가운데 하나다.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으로든, 우연이든 운명이든, 그들은 자신을 자꾸 건드리는 상처의 근원 쪽으로 꾸준히 향해 간다. 자신을 버린 아내와 과거에 손을 꼭 잡고 보았던 시시한 영화들(「애니」)이나, 가족여행에서 알콜중독 어머니를 홀로 가둬두었던 호텔방(「그랜드 망상 호텔」), 어머니가 이모부에게 살해당할 때 끼었던 은반지와 이모부가 피우고 있던 잎담배(「신행」) 등의 매개체를 거쳐, 슬픔의 진짜 진원지인 자신의 기억 속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이다. 그들은 마치 “과거에 대한 애도를 수행하기라도 하듯, 자신을 부서뜨릴 만큼 큰 아픔을 감수하고 과거의 사건들을 하나씩 재구성하기 시작한다. 그 과정에서 정한아의 소설은 차분하게 감정선을 조절하면서 서술자의 의식을 추적해나간다. 하나씩하나씩, 그는 자신을 허물어뜨리는 동시에 그 절망의 심연에서 다시 올라올 마지막 순간을 기다린다”(이소연).
피로와 수치를 씻지 못하고 방에 갇힌 어머니. 열쇠는 눈앞의 테이블 위에 있었다. 윤슬은 언제든, 그 열쇠를 가지고 옆방에 가서 문을 열 수 있었다. 하지만 그녀는 그렇게 하지 않았다. 불이 꺼진 방에서 자정이 다 될 때까지 텔레비전을 보던 그녀는 아버지가 돌아왔을 때 자는 척 눈을 감았다. 자신이 어째서 눈을 감고 있는지, 스스로도 이해할 수 없었다. 그녀는 무엇에 대해 눈을 감았던 것일까. _「그랜드 망상 호텔」에서
잠시 마주친 순례의 동반자들
상처받은 사람들이 제 상처의 먼 진원지를 향해 느릿느릿 발걸음을 옮긴다. 그 길에 끝이 보이지 않을 때, 정한아의 소설에서 슬픔을 해소하고 애도를 완성하도록 돌보는 역할은 곁에 항상 있는 사람이 아닌, 고유의 상처를 지닌 ‘완벽한 타인’의 몫이다. 상처의 진원지를 향한 각자의 길 위에서 우연히 마주친 그들은 잠시 함께 걷는다.
미래를 기약하려 현실을 축내가며 애써 분양받은 아파트가 깡통주택이 되어버린 부부. 저녁이 있는 삶도 아기까지도 맞바꾼 미래가 날아가고 의미 없이 살아가던 그들은 부모에게 외면당한 조카를 잠시 맡게 된다. 조카가 제 몸처럼 돌보던 아기인형이 망가져버리자, 아내는 조카와 언 흙에 뜨거운 물을 부어가며 땅을 파 “영원히 그녀만의 비밀로 남겨둘 참이었”던 아기 손싸개를 인형과 함께 묻고, 자신같이 고통받기를 바라며 유산 후 불임이 되었다고 속여온 남편에게 사실을 고백한다(「예언의 땅」). 아내를 움직인 것은 조카다. 몰랐던 누군가를 만나 비로소 애도에 가까워지는 예는 『애니』의 다른 소설에서도 빈번하게 등장한다. 어쩌면 그들에게 “유일하게 과거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인 옛 영화를 기억하는 두 사람일 「애니」의 운전 강사 ‘권’과 배우 ‘마리아’는 운전 교습을 통해서 자신을 떠나버린 아내와 교통사고가 남긴 각자의 트라우마를 잊어낸다. 떠나버린 아버지와 넋이 나간 어머니가 채우지 못한 자리를 대신해주는 베이비시터와 중학생(「빈방」)도, 하룻밤 상대(「그랜드 망상 호텔」), 섭식장애 치료소 동기(「오픈하우스」)도 마찬가지로 서로를 목적지 근처까지 데려다주고 있다. 잠시 마주친 누군가를 통해 비로소 자신을 과거에 대한 집착에서 끄집어내는 것이다.
정한아가 소설에서 기대하는 것도 딱 그만큼이 아닐까. 어느 날 어느 때 문득 마주친 누군가에게 이 소설들이 “작은 쓸모가 있기를” 바란다는 그는, 언제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긍정을 찾는 작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에 소요되는 기간이 점점 길어진다 하더라도 도착지는 다르지 않을 것이다.
별다를 것 없는 이야기였다. 실패한 두 사람이 만나서 서로를 특별하다고 느끼고, 앞으로 좋은 시절이 올 거라고 믿고, 그날이 오리라는 것은 너무나도 요원하지만, 그 둘만은 굳건히 믿고, 또 믿는 그런 이야기. 권은 어둠 속에서 오래전 그 여배우의 얼굴이 희미하게 드러나는 것을 보았다. _「애니」에서
삶을 애도로서 경험한다는 것, 그것은 자신이 겪었던 상실을 두 번 반복하는 것이다. 반복은 우리에게 단순한 희망을 준다. 다음에 반복될 땐 달라질 수도 있으리라는 것. 정한아의 소설은 반복되는 애도의 리듬을 전수함으로써 우리에게 힘겨운 시간을 홀로 이겨낼 수 있는 용기를 준다. […] 옆자리에 앉아 함께 길을 갈 사람이 필요하다고 느낄 때 나는 정한아의 소설을 또 읽을 것이다. 꺼진 시동을 다시 걸 때처럼, ‘한 번 더’라고 속삭이면서. _이소연(문학평론가)
작가의 말
-통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저희가 위로를 받을 것임이요
- 『마태복음』 5:4
이 페이지는 내가 제일 좋아하는 부분이다. 과거에는 그랬다. 소설책을 보면 제일 먼저 ‘작가의 말’을 찾아 읽었다. 거의 집어삼킬 듯이 눈에 새겨 넣곤 했다. 작가의 ‘말’이란 과연 무엇인지, 나는 그것이 궁금해 견딜 수 없었다. 나도 그런 ‘말’을 갖고 싶었다. 가질 수 없다면 죽는 게 낫다고도 생각했다. 과장이 아니라 정말이다.
작가가 된 뒤로는 ‘작가의 말’을 읽지 않는다. 그러니까 10년 전부터. 작품 활동을 시작한 지 10년이 되었다. 그 사실이 부끄럽기도 하고, 자랑스럽기도 하다. 네번째 책의 출간을 앞두고 며칠 동안 ‘작가의 말’을 골몰하였다. 책이 꾸려지는 내내 악몽을 꾸었고, 과연 계속 글을 써야 하는가에 대한 문제로 고심하였다는 사실을 털어놓을 수는 없다. 그런 것은 좋은 ‘작가의 말’이 아니다. 나는 이 페이지를 그렇게 망칠 수 없다.
딸애의 손톱을 깎다가, 그 투명하고 하얀 막을 조심스럽게 잘라내다가, 문득 내가 서른네 살이라는 사실을 깨닫는다. 그 사실에 언제나 화들짝 놀라게 된다. 시간이 흐를수록 내가 얼마나 보잘것없는 존재인지, 형편없는 인간인지 분명해지는 듯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희망을 품고 살아갈 수 있는 것은 아마도 문학의 비호 덕분일 것이다. 나는 그 안에서 패배할 권리, 하찮아질 권리, 인간 변종이 될 권리를 얻었다. 문학이 죽었다, 살았다, 말이 많은데 나의 증언은 단지 이것, 문학이 나를 살렸다는 사실이다.
이 책에 실린 소설은 서른 살이 되던 해부터 쓴 것들이다. 이 중 아주 작은 일부라도, 누군가에게 쓸모가 있기를 바란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무척 낙담할 것이다. 하지만 종종 낙담이 더 큰 계기가 될 수도 있다. 인생의 묘미란 그런 것이다.
2015년 여름
정한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