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계간 『문학과사회』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문학평론가 강계숙의 첫 문학평론집. 지난 7년 동안 동시대 동세대의 문학과 긴밀히 호흡하며 읽고 써온 평문들 가운데서, 특히 2000년대 이후 출현한 젊은 시인들의 작품과 그들의 내면 풍경에 주목한 글들을 추려 이 책에 묶었다. 이승원, 최하연, 박진성, 김영래, 김민정, 이세기 등 많은 시인의 시를 주제별로 나누어서 이야기하며 정현종론, 최정례론, 박형준론 등 시인론도 실었다.
수수께끼에 가까운 말(謎言), 나를 미혹게 하고 매혹시키기도 한 말(迷言), 미래의 어느 때엔가 완성될 말(未言), 그렇기에 작고도 아름다운 말(微言, 美言). 미언이라는 비평집의 제목은 비평의 대상이 되었던 텍스트들과 이를 분석한 비평 모두를 뜻한다. 저자는 자신의 문학적 인식론과 비평의 책무를 밝히는 한편, 2000년대 이후 젊은 시인들이 갈구하는 전혀 다른 서정의 차원과 새로운 의식, 윤리, 감각의 확장에 아낌없이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목차
미언에 부쳐
迷言
쿨의 시학
서정의 변신 - 최근 시의 내면 풍경
'다른 생을 윤리하는' 시와 시인들
인디에는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비평의 선제에서 공감의 비평으로
未言
냉염의 시인 MC S1, 회색의 도시를 'Diss'하다 - 이승원의 시
무궁의 꿈, 카산드라 콘체르토 - 최하연의 시
'병시'의 시학 - 박진성의 시
늑대는……, 사라진다 - 이현승의 시
두 겹의 저녁 시간 - 김중일의 시
프랑켄슈타인 - 어(語)의 발생학 - 김경주의 시
美言
형안의 귀 - 정현종론
환의 순간, 초월의 문턱 - 최정례론
기억의 힘 - 박형준론
감각의 아나키즘 - 김행숙론
微言
불타는 얼음의 언어 - 김영래의 「하늘이 담긴 손」
코끼리를 냉장고에 넣는 검은 나나 - 김민정의 「날으는 고슴도치 아가씨」
그는 듣는다, 바다의 숨소리를 - 이세기의 「먹염바다」
매향리에 가보지 못한 뒤 - 최영철의 「그림자 호수」
'약한' 눈의 거세 - 배용제의 「이 달콤한 감각」
謎言
그대 아직 유토피아를 꿈꾸는가
저자
강계숙 (지은이)
출판사리뷰
‘지금 여기’의 시적 현실에 공감하는 대화적 비평
계간 『문학과사회』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문학평론가 강계숙의 첫 문학평론집 『미언』(문학과지성사, 2009)이 출간됐다. 2002년 창비 신인평론상을 수상하며 평단에 나온 저자는 지난 7년 동안 동시대, 동세대의 문학과 긴밀히 호흡하며 읽고 써온 평문들 가운데서, 특히 2000년대 이후 출현한 젊은 시인들의 작품과 그들의 내면 풍경에 주목한 글들을 추려 이 책에 묶고 있다. 표제이자 각 장의 말머리에 해당하는 ‘미언’의 각기 다른 호명 속에서 저자는 자신의 문학적 인식론과 비평의 책무를 밝히는 한편, 2000년대 이후 뚜렷한 시적, 언어적 개성으로 한국문학을 일신해가는 젊은 시인들의 텍스트를 집중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그들이 갈구하는 전혀 ‘다른 서정’의 차원과 새로운 의식, 윤리, 감각의 전이 혹은 확장에 아낌없이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미언’(迷言/未言/美言/微言/謎言)으로 시도되는
비평과 텍스트의 대화, 그리고 미래의 그림
저자는 서문을 통해, 2000년대 이후 등장한 젊은 시인들, 흔히 신인류라고도 불리는 이들의 언어에 몹시 당황하고 두려웠으며, 독자와 평자보다 앞서 나가 있는 그들의 시적 표정과 몸짓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동시대의 ‘바깥’과 자기 시대의 무의식, 이념, 정신 등을 ‘오로지’ 작품을 매개로 성찰하고 공감을 표하는 비평적 시선과 태도가 스스로에게 절실했음을 밝히고 있다. 이른바 “미래로부터 현재를 응시”하는 갈급한 독서와 글쓰기 는 주목받는 30대 신예비평가로 동시대 문학에 집중하는 강계숙의 비평의 요체이다. 여기서 말하는 ‘미래’는 ‘미완성’ ‘미정형’으로도 읽히는데, 이 책의 제목으로 저자가 주저 없이 ‘미언’을 택한 이유이기도 하다:
“그들이 헤매는 만큼 그들의 말을 더듬는 나도 헤맸고, 그들이 미완(未完)인 만큼 나의 언어도 미숙했다. 그들이 빠진 미궁에서 나 또한 어지러웠으며, 그들의 걸음이 힘찬 만큼 나의 글쓰기도 수줍지 않길 바랐다. 창피함과 두려움과 무력함을 오가면서도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는 흥미로움 속에서 나는 그들을 읽었고 궁금해했다. [……] 비평집의 제목을『미언』으로 붙인 것은 이 때문이다. 수수께끼에 가까운 말(謎言), 나를 미혹게 하고 매혹시키기도 한 말(迷言), 미래의 어느 때엔가 완성될 말(未言), 그렇기에 작고도 아름다운 말(微言/美言), 그리고 그 모든 말과 함께 숨 쉰 나의 말…… 비평의 대상이었던 텍스트와 그 텍스트로부터 길어 올린 나의 언어가 지닌 특성을 두루 통칭할 단어로 ‘미언’만큼 적당한 것은 없는 듯싶다.” (p.11)
서정의 변신―‘다른 생을 윤리’하는 시와 시인들,
미학적 전복, 인식의 전복, 진정한 혁신이라 부를 수 있는 것들에 대하여
“새로운 형식은 더 이상 예술적이지 않은 옛 형식을
해체하기 위해서 등장하는 것이 아니다. 새로운 형식은 그것이 문학 형식 안에 비로소 드러나게 되는 어떤 경험의 내용을
앞서 형성해줌으로써 사물의 새로운 인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H.R. 야우스, 『도전으로서의 문학사』(문학과지성사, 1983), p.213
1장과 5장은 비평가로서 자신의 문학적 인식, 비평적 입론에 대한 글을 묶고 있다. 시(예술)의 현실은 사실로서 대상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대상이 언어화되는 ‘사건’을 다루는 것, 즉 ‘사건화’ 과정 자체를 의미하며, 따라서 언어화 과정과 언어화된 ‘사건’ 사이의 미적 정합성이 어떻게 성취되는가를 바로 보고자 함이 비평의 자리라고 밝히고 있다: “문학적 인식과 상상력이 비판적 성찰의 한 형태로서 여전히 유의미한 사회적 작업의 하나라면, 탈-유토피아주의 시대를 살아가는 새로운 문학 세대들은 어떤 ‘다른’ 전망과 견해와 이념을 궁구하고 있는지, 그것의 새로운 정치성은 무엇이며 어떠한 스타일을 그것을 구체화하는지를 탐색하는 일은 동시대를 살아가는 비평가로서의 책무이자 자기 세대의 문학적 족적을 확인하고 공감하고 증언함으로써 그에 동참하고자 하는 비평 의식의 최소한의 자기 실천이다. 그러므로 나의 문학 세대를 향해 던지는 모든 질문은 곧 나 자신에게 던지는 존재론적 화두이기도 하다.”(p.384)
2, 3, 4장은 그러한 우리 시의 현주소를 개별 텍스트를 통해 세세히 밝히는 작품과 작가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이제 갓 한두 권의 시집을 상자한 젊은 시인들(김행숙, 김경주, 김민정, 최하연, 이승원, 이현승, 박진성, 김중일, 이장욱, 하재연 등)을 대상으로, 주체 분열을 자기 반영하는 실험적 언어, 이질적 감각의 운동 혹은 그 발견, 기존의 시학을 해체하는 새로운 형태와 스타일, 관습적 상징체계 너머로 질주하는 미적 전위의 역할, 실재로의 과감한 도약, ‘다른’ 서정(시)의 생성 등으캷 가득한 그들의 내적 풍경을 읽어내고 있다. 동시에, 그들이 ?쳐 보이는 다채로운 시적 모험이 이 세계를 살고 있는 “우리 삶의 경험과 아직 채 인식되지 못한 그것의 의미를 동시대의 문학적 최전선에서 가장 현재적이고 당대적인 의의를 가지고 ‘앞서’ 직관한 결과물”이라고 명명하는 적극적인 이해와 공감의 목소리도 잊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