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모든 관계의 변수는 ‘거리’다.
거리 두기 하나로
아흔아홉 가지 갈등을 해결하는
공간과 관계의 심리학
혼자는 외롭지만 둘은 괴롭다. 금요일 저녁, 혼자 있고 싶지 않아 약속을 잡았다가도 막상 약속 자리에 나가면 다시 혼자 있고 싶었던 적이 있을 것이다. 소외감을 느끼고 타인과 접점을 찾다가도, 정작 만나고 나서는 스트레스 때문에 금방 자리를 뜨고 싶어진다. 외롭지도 않고 괴롭지도 않은 그 중간에서 균형을 잡을 수는 없는 걸까? 다른 사람들과 잘 어울리면서도 서로 상처를 주고받지 않을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저자는 이런 고민에 답하기 위해 조직 심리학을 바탕으로 사람과 사람 사이의 적절한 거리를 탐색하고, 인간관계 안에서 일어나는 크고 작은 갈등을 해결하는 법을 연구해왔다. 그 결과 물리적 거리와 심리적 거리의 상관관계를 연구하는 공간 이론(proxemics)에 주목하게 되었고, 이를 활용해 사람들이 대인 관계에서 발생하는 갈등과 상처를 예방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공간 이론을 만든 인류학자 에드워드 홀과 여러 연구자들에 따르면, 연인이나 가족에게 허용하는 거리보다 멀지만, 무대와 관객석 사이의 거리보다는 가까운 4피트(약 1.2미터)가 가장 적절한 ‘사회적 거리’다. 물리적으로 4피트 떨어진 거리만큼, 심리적으로도 다른 사람들과 적당한 거리를 두는 것이 사회생활에 대한 만족도를 결정짓는다는 것이다. 이것은 심리적 거리가 그보다 짧다면 대상과 지나치게 가까워 상처를 주고받고, 그보다 멀다면 관계가 소원해져 서로에게 관심 밖으로 밀려나기 쉽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 책은 사회생활을 하면서 마주치는 모든 이들과 적절한 심리적·물리적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왜 필요하고, 또 어떻게 해야 그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지 여러 실험과 사례, 실용적 지침을 담아 설명한다.
목차
들어가는 글
1장 내겐 너무 가까운 당신
자기만의 공간
사회생활을 결정짓는 거리, 4피트
균형 이론, 공평성 이론, 귀인 이론
관계를 형성하는 두 가지 요인, 힘과 호감
2장 가까이하기엔 너무 먼 당신
약자 편: 그저 당하고만 있을까요?
문제의 근원, 힘의 불균형
너무 가깝고도 먼 상사들
착각하는 카리스마
보기 싫은 상사의 ‘꼴’
익숙하지 않은 거절과 익숙한 평가
강자 편: 무조건 믿어도 괜찮을까?
오른팔이 뒤통수친다
한 걸음 물러서고 한 걸음 다가가기
3장 친구보다 먼, 적보다는 가까운
동료 평가를 대하는 두 가지 태도
키 큰 양귀비 증후군과 착한 아이 증후군
관계 부적응과 요나 콤플렉스
3년을 결정하는 3초, 첫인상
무례하거나 무시하거나
희생양
적인지 동지인지 모를, 친적
4장 불면증과 무기력증 사이
일밖에 모르는 직원과 일을 모르는 직원
번아웃 증후군
열정 중독
나는 왜 무기력을 되풀이하는가
일의 가치를 찾아서
성장하는 사람들의 네 가지 습관
직장이 사라지는 시대
5장 가까이서 보면 비극, 멀리서 보면 희극
300 : 29 : 1
실패에서 배우기
삼진이어도 헛스윙
참고문헌
저자
조범상
출판사리뷰
인간관계를 결정짓는 거리, 4피트
“선배들을 어떻게 대해야 할지 잘 모르겠어요. 다들 성격이 달라서요. 똑같은 행동을 해도, 어떤 선배는 언짢아하고 어떤 선배는 잘했다고 해요. 어느 장단에 맞춰야 할지 감도 안 잡혀요. 얼마 전까지는 나름 직장에 잘 적응하고 있고 동기들보다 일도 잘하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이제는 선배들이 나를 어떻게 평가할지 궁금하고 걱정돼요.” - 30쪽
저자는 이와 비슷한 고민이 타인과 알맞은 거리를 찾지 못해 발생한다고 말한다. 대인 관계는 거리에 따라 크게 네 가지 영역으로 나뉠 수 있는데, 첫째는 ‘연인 또는 가족과의 거리’인 1.5피트(약 46센티미터) 이내를 말하고, 둘째는 ‘친구와의 거리’인 1.5피트에서 4피트(약 1.2미터) 사이를 뜻한다. 셋째는 ‘사회적 거리’인 4피트에서 12피트(약 3.7미터) 사이이고, 12피트 이상은 강의나 연설과 같은 공적인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적인 거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친밀하지 않은 상대가 4피트 안으로 자신에게 접근하면 불쾌감과 스트레스가 발생하고, 아무리 가까운 사이더라도 4피트 밖으로 자주 멀어진다면 친밀감을 잃고 관계가 소원해지기 쉽다. 네 가지 영역 안에서 서로 적당한 거리를 두는 데 실패했기 때문에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이 책은 네 영역을 나누는 거리 가운데 특히 4피트가 중요하다고 말한다. 4피트는 사적인 영역과 공적인 영역의 경계가 만나는 거리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연인이나 가족이 아닌 모든 관계에서, 4피트가 서로 상처받지 않으면서도 상처를 주지 않는 최소한의 거리라는 뜻이기도 하다. 대다수 관계가 사회생활을 하는 동안 맺어지는 만큼, 4피트라는 ‘사회적 거리’를 우리가 심리적으로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이는지가 인간관계에 대한 만족도를 결정한다.
한 걸음 물러서고 한 걸음 다가가기
4피트만큼 물리적으로 거리를 두는 일은 어렵지 않다. 문제는 심리적으로도 어떻게 4피트만큼 거리를 둘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다행히도 사람과 사람의 심리적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심리적 거리와 물리적 거리가 서로 밀접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심리적으로 누군가와 ‘멀다’고 말하거나 ‘가깝다’고 표현하는 것이 이 사실을 단적으로 드러낸다.
예를 들어, 실제로 다른 사람이 자신에게 물리적으로 다가올 수 있는 측정해 심리적인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가족이나 직장 동료가 자신에게 어느 정도까지 가까워져도 괜찮은지를 이해하면, 상대적으로 어떤 사람과 심리적으로 더 멀고 가까운지를 알 수 있다.
4피트는 평균적인 적정 거리이기에, 타인이 더 이상 접근할 수 없는 ‘자기만의 공간’은 문화마다, 성별마다, 사람마다 다를 수 있고, 심지어 두 사람이 어떤 공간에 있는지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핵심은 결국 변하지 않는다.
첫째, 상대의 특성과 상대에 대한 내 행동의 특성을 진단한다.
둘째, 상대와 내가 심리적으로 얼마나 멀거나 가까운지를 평가한다.
셋째, 내 행동을 수정해 상대와 나 사이의 균형점을 찾는다.
저자는 윗사람과의 거리, 아랫사람과의 거리, 동료와의 거리 등 우리를 둘러싼 다양한 관계를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자 자신이 어떤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지 ‘자가 진단’ 표를 작성해 알 수 있도록 돕는다. 또 유형별로 적정 거리를 찾을 수 있도록 여러 실험과 사례를 소개하고, 일과 사생활 사이에서도 어떻게 적절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지에 관해 명쾌한 지침들을 제시한다.